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Aa2로 상향…사상 최고
연합뉴스 2015.12.19(토) 김동호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1&oid=001&aid=0008063349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9/0200000000AKR20151219010852002.HTML?input=1195m
Aa2 이상 등급, G20 가운데 한국 포함 7개국 불과
무디스 "韓 선진국보다 높은 성장세…1인당 소득, 유럽 선진국에 근접할 것"
일본·중국보다 높은 신용등급…향후 하향 요인으로 구조개혁 후퇴 등 거론
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2로 한 단계 상향조정했다. 한국이 3대 국제 신용평가기관에서 Aa2 등급을 받게 된 것은 사상 최초로, 무디스가 Aa2 이상 등급을 부여한 것은 주요 20개국(G20) 가운데서도 7개국에 불과하다.
무디스는 18일(현지시간)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Aa2로 한 단계 상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으로 제시했다.
지난 4월 무디스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Aa3으로 유지한 채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올린 지 8개월 만에 등급 상향이 이뤄진 것이다. 한국이 무디스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피치 등 3대 국가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Aa2(S&P·피치 기준 AA) 등급을 받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
무디스는 한국 신용등급 상향 이유로 건전한 신용 관련 지표, 정부의 제도적 역량 등을 제시했다. 무디스는 한국 경제가 앞으로 5년간 선진국보다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1인당 소득도 유럽 선진국 수준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의 통합재정수지는 2010년 이후 흑자 기조를 지속했으며, 앞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0.5% 수준의 재정흑자를 이어가는 한편 GDP 대비 정부부채비율도 40% 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2014년부터 순국제투자 잔액이 플러스로 전환되고, GDP 대비 대외부채가 30%에 불과하며 단기외채비중이 30% 이하로 감소하는 등 한국의 대외건전성이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과거 한국이 구조개혁으로 외환위기를 극복한 경험 등에 비춰보면 이번에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부문 구조개혁도 성공하고 잠재성장률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무디스는 한국 정부가 공공정부 부채관리에 있어서도 애초 목표를 넘어서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공공연금 개혁이나 가계부채 구조개선 등 재정부문의 리스크 요인 등을 적절히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략>
기획재정부는 무디스의 등급 상향조정에 대해 "양호한 대외·재정부문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경제 활성화 및 구조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 경제의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결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3대 신용평가기관 중 다른 2곳의 한국 신용등급을 보면 S&P와 피치는 모두 AA- (안정적)이다. 무디스의 Aa3에 해당하는 등급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업도 '우버 모멘트'...앞으로 10년 동안 은행 일자리 절반이 사라질 것이다 (0) | 2015.12.20 |
---|---|
한국, 사상 최고 국가신용등급...미국 기준금리 인상 충격막는 '방파제'될 듯 (0) | 2015.12.19 |
[에너지 혁명 2030] 토니 세바, "2018년까지 100% 솔라화하는 방안 제시할 것" (0) | 2015.12.17 |
‘혁신기업의 딜레마' 붕괴 이론의 붕괴, 혁신기술이 소멸시키는 산업 (0) | 2015.12.17 |
[교육의 미래] 지금의 유치원생 중 65%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갖게된다 (0) | 2015.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