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부즈맨 칼럼] 나누고 공유해야 더 잘살 수 있다
서울신문 2015.12.15(화) 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http://m.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1216030004&cp=seoul
‘소유의 종말’ 현실화….
‘공유경제 급속 확산’(12월 5일자 서울신문 1면 커버스토리)이라는 제목의 기사 내용은 어떤 당위적인 논리보다 설득력이 있었다. 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이 “앞으로 40년은 자본주의와 공유경제라는 두 개의 상이한 경제가 함께 존재하는 시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을 때만 해도 ‘왜’ 라는 질문이 우선 머리에 떠올랐었다.
자본주의는 ‘소유’에 대한 극대화된 욕망으로 그 본질이 대변되는 사회가 아닌가. 그래서 지금 나도, 이웃도, 주변에서 마주치는 모든 사람들도, 사회 전체도 더 많은 돈을, 더 큰 집을, 더 좋은 학력을, 더 많은 땅을(소유가 가능한 사람이 정말 소수이겠지만), 더 좋은 스펙을, 성공을 소유하기 위해 이렇게 죽을 힘을 다해 발버둥치며 살고 있지 않은가. 그래서 아침마다 미처 젖은 머리카락을 말리지도 못한 채 집에서 튀어나와 일터로 향하는 것이 아닌가.
그런데 공유경제가 “내게 필요하지 않은 것은 남에게 빌려주고, 거꾸로 내게 필요하지만 없는 것은 남에게 빌려 쓰는 것”이라고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거나, 적은 비용으로 혹은 교환의 형태로 내게 필요한 정보, 물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귀가 솔깃해진다.
<중략>
아마도 이런 주거 형식은 ‘공유’가 필요에 의해 소규모로 극대화됐을 때겠지만, 기사를 읽으며 매우 느슨한 방식으로 ‘공유’를 하며 삶의 질이 높아질 가능성은 매우 크다는 생각을 여러 번 했다. 더구나 정보통신기술(ICT)이 발달해 오프라인에서 부족한 커뮤니케이션을 보충할 수 있는 플랫폼도 충분하다고 하지 않는가.
아무리 생각해도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 나누고, 공유하는 건 어떤 이상을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다는 걸 깨닫기에 연말이라는 시기는 너무 적절한 것 같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년 경제정책 방향] 공유경제 산업 육성 위해 규제 푼다 (0) | 2015.12.17 |
---|---|
[온디맨드 경제] 공유경제, 경제발전 원동력이 되기까지의 과제 (0) | 2015.12.17 |
시애틀, 미국 도시중 처음으로 우버 노조허용…'공유경제'모델 타격 (0) | 2015.12.15 |
공유경제 FAQ - 이근춘 부산시공유경제촉진위원회 위원 (0) | 2015.12.15 |
상업경제의 대안적 모델, 공유경제의 배신…우버의 빛과 그림자 (0) | 2015.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