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세상 '친디아'가 뜬다…2016년 10대 이슈
머니투데이 2015.12.13(일) 진달래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08&aid=0003595895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121118401433108&outlink=1
KISA, 인터넷·정보보호 10대 이슈
/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인터넷 산업에서 '친디아(Chindia)'의 돌풍은 내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친디아'는 중국(China)과 인도(India)의 합성어다. 두 국가가 ICT(정보통신기술)산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친디아의 성장세와 함께 내년 인터넷 분야 화제로 핀테크, 드론, 스마트홈, 셀프케어족 등이 꼽혔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13일 내년 인터넷과 정보보호 분야 관련 각각 주요 10대 이슈를 발표했다. KISA는 2010년부터 매년 전문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듬해 이슈를 선정해왔다. KISA 관계자는 "자동차, 제조 등 전 산업 분야로 인터넷이 확산되고, 보안 위협도 전 분야로 퍼져 모든 산업에 보안이 내재화가 될 것"이라고 내년 산업을 전망했다.
◇인도 스타트업 약진, 핀테크는 올해 이어 내년도
지난해 말 '2015년 이슈'로 중국 인터넷기업과 전략적 공존이 선정된데 이어 내년 인터넷 이슈로는 '친디아'가 꼽혔다. 인도 스타트업의 활약 덕분에 글로벌 ICT 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국가로 중국과 인도가 동시에 떠오른 것이다. 친디아는 거대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세계의 공장·사무실로 변모하면서 내년에는 그 영향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혁신기업 분야에서도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KISA 발표에 따르면 지난 11월 기준 세계 유니콘기업 144개 중 중국 기업이 21개, 인도가 7개로 미국 이어 2, 3위를 차지했다. 유니콘 기업은 10억 달러(약 1조1815억 원) 이상 기업가치를 가진 비상장 스타트업을 말한다. 세계 핀테크 100대 기업 가운데서도 미국(54개)에 이어 인도가 2위(11개)에 오르기도 했다.
전년에 이어 이번에도 핀테크가 10대 이슈 목록에 올랐다. 내년에는 본격적인 페이전쟁은 물론 송금, 대출, 보험 등 다양한 분야로 핀테크 서비스가 확장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KISA 측은 분석했다. 이외에도 △똑똑해지는 가전 '스마트홈' 시대 본격 개화 △서비스 플랫폼으로 확장 되는 'O2O(Online to Offline)' △인터넷 신(新) 시장으로 부상하는 '가상현실'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셀프케어족' 증가 등이 내년 이슈로 선정됐다.
<중략>이미지
/사진제공=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드론, 커넥티드카 인터넷 이슈이자 떠오르는 해커 먹잇감
<중략>
백기승 KISA 원장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회 전 분야에서 창조적 파괴를 통한 혁신이 촉진되고 있다"며 "증가하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이 국가와 기업의 성장과 생존의 필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코리아 설립 5주년…국내 이용자 1천600만명 (0) | 2015.12.14 |
---|---|
현대차 등 완성차업체, 독자 인포테인먼트 접나...애플·구글 제품 채택 확대 (0) | 2015.12.14 |
[2015 ICT 산업 결산] '모바일 온리' 시대.. 핀테크·O2O 성과에 성패 달렸다 (0) | 2015.12.13 |
전기차의 미래, 테슬라만 있는 게 아니다...올해 판매대수, 중국이 미국 추월 (0) | 2015.12.13 |
페이스북, 인공지능(AI) 서버 ‘빅서(Big Sur)’ 설계...오픈소스로 무료 공개 (0) | 2015.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