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2025년경, 머신러닝(기계학습) 증가 등으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변화 예상

배셰태 2015. 11. 17. 21:49

2025년의 온라인교육, 기계학습이 증가하며 시험은 선다형 평가방법에서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변한다.

인데일리 2015.11.17(화) 박영숙《메이커의 시대》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2&nMcate=M1004&nScate=1&nIdx=29847&cpage=1&nType=1

 

2025년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예상

 

Kunal Chawla, Ben Jaffe이 2025년경의 온라인 교육의 변화를 예측하고 있다. 10년 뒤의 온라인 교육은 어떻게 될 것인가? 몇 가지 예측을 해야 하는 좋은 질문이다. 그러나 먼저 우리의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너무 뒤늦게 깨달았고 터무니 없었던 몇 가지 예측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컴퓨터는 기껏해야 전 세계를 통틀어 다섯 대 이상 팔리지 않을 것이다." 토머스 왓슨 IBM 회장, 1943

 

“미래의 컴퓨터는 적어도 무게가 1.5톤은 될 것이다." 과학 잡지 '대중 역학', 1949 년

 

“아이폰은 주목할 만한 시장점유율을 나타내지 못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 CEO 스티브 발머, 2007년

 

이제 예측 기사를 쓰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추측하는 일은 얼마나 재미있는 일인가!

 

먼저, 확실한 것부터 살펴보자.

 

미래에는 인터넷 비용은 더 저렴해질 것이고 더 많은 기기들이 등장한다. 기술혁명이 지속적이고 가속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추정을 하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이다. 인터넷과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기들은 더 빨라지고, 더 저렴해지고, 더 많은 장소에서 이용 가능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추정과 예측이 시작된다. 몇 가지 예측은 긍정적일 것이고 몇 가지는 불길할 것이다. 이제 출발해보자.

 

유행 선도자의 등장

 

<중략>

 

회의적으로 태블릿 사용하기 (하루에 두 번)

 

<중략>

 

인간 상호작용 - 높은 가격

 

<중략>

 

작용 - 높은 가격

 

<중략>

 

A B C D의 표현

 

다가올 10년 동안, 교육현장에서의 시험과 평가는 고부담의 선다형 즉 답을 선택하는 평가방법에서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 기반 표현 방식 혹은 시험으로 전환될 것이다. K-12 과정(유치원-고등학교) 학사일정에 표준화된 시험이 도입될 것이다. 2002년에 50개 주 모두에서 연례 시험을 치를 것을 규정한 낙오학생 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이 제정된 이래 이러한 시험의 용도가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시험들은 갈수록 중요성을 잃게 된다. 미국의 기업들은 구글과 같은 기술 선도 기업을 따라 입사지원을 받을 떼에 성적증명서나 GPA, 시험성적을 묻지 않는다. 이미 적어도 180개 정도의 우수한 미국의 대학들이 입학 사정에서 SAT 성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 숫자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시험은 보다 더 프로젝트 베이스, 제약이 없는 과업이나 성과 평가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학생들의 학습수요와 직업 시장의 수요에 맞출 수 있는 방향으로 지원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한계의 하나는 제한 없는 진술의 평가이다. 그러나 기계적 학습이 점차 없어지게 되면 그 한계도 사라지게 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배우고 싶지 않아요, 데이브

 

기계적 학습은 다른 무엇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배운 것을 이해하게 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페이스북의 친구 사진 오토 태그, 라디오에서 나오는 노래를 휴대폰이 식별해내는 것, 시리가 당신이 말하는 모든 것을 이해(오해)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기계 학습 시스템은 인간의 상호작용을 모방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발을 겨우 담그기 시작했고 10년 이내에 인간의 상호작용을 모방한 기계적 학습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자동화된 시스템이 이미 제한 없는 진술에 대한 평가를 시작했고 각각의 학생에게 개개인의 요구에 맞춘 피드백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시스템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향상될 것이고, 사회적 지위와는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이 더 심화되면 인간의 상호작용은 조용하게 많은 설득력 있는 봇들로 대체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봇들이 조만간 지각을 가지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들에게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적 만족을 제공하는 커다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사회 정서적 학습(Social-Emotional Learning)

 

언제 일어나게 될지 확신하지 못하지만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는 사회 정서적 학습이 더욱 더 확대되었으면 좋겠다. 이러한 교육 서비스를 통해 학생들에게 동정심을 가르치고 타인에 대한 공감과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것을 가르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교사들의 봉급이 의사나 엔지니어가 받는 보상과 같은 수준이 되는 세상을 상상해본다.

 

온라인 교육 세계는 극단적으로 광범위하다. 우리는 아직 크롬북, OLPC 프로젝트(저개발국가에 교육용 노트북을 싼 값에 공급하는 운동), 무크(온라인 무료 수업), 학습관리시스템(LMS), 무료 공개학습(OER) 등은 아직 이야기하지도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