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중국, 세계 최대 규모로 부상하는 O2O...세계 최대의 온라인 비즈니스 환경

배셰태 2015. 11. 1. 11:44

세계 최대 규모로 부상하는 중국 O2O 진단

머니투데이/테크M 2015.10.31(토) 도강호 기자

http://www.techm.kr/home/bbs/board.php?bo_table=issue&wr_id=790

 

중국의 모바일 사용자 수는 미국을 앞질렀다. 하지만 기업의 75%는 여전히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다. 중국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비즈니스의 성공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중국 시장의 특성과 O2O 시장의 중요사항을 짚어봤다.

 

 

세계 최대의 온라인 비즈니스 환경

 

중국 온라인 산업의 성장세가 매섭다. 중국은 2013년에 이미 미국을 초월해 세계 1위 규모의 온라인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자상거래는 물론 O2O 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알리바바가 대표적이다. 물론 텐센트와 바이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인터넷정보센터(CNNIC)에 따르면 2014년 12월 기준으로 중국 인터넷 사용자는 6억4,900만 명, 인터넷 보급률은 47.9%이다. 또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수는 5억5,700만 명,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은 8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스마트 기기 보유량도 엄청난 수의 사용자에 힘입어 미국을 추월했다.

 

[그림 1] 중국 O2O 플랫폼 접속 방법

[출처] Carlton Mansfield, ‘China O2O Industry Report 2014’

 

중국 시장조사 전문기관 이관즈쿠는 ‘중국 모바일인터넷 통계수치 및 2015 예측보고’를 통해 2014년 중국 모바일 인터넷 시장 규모는 2013년 대비 183.8% 증가한 1조3,438억 위안으로 집계했다. 또 2015년에는 중국 모바일 인터넷 시장 규모가 2조3,000억 위안을 넘어서고 상거래 비중도 지난해 64.1%에서 68.3%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모바일을 통한 소비가 시장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뜻이다. 이는 중국 전자상거래 산업에 대한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중략>

 

[그림 2] 중국 전자상거래 총 거래액

 

<중략>이미지

 

이같은 전자상거래 성장은 모바일 결제서비스 활성화와 모바일 쇼핑의 성장이 덕분이다.

 

<중략>

 

모바일 쇼핑의 성장에 힘입어 O2O 관련 시장 규모 역시 빠른 속도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회의에서 루웨이 중국인터넷협회 비서장은 “지난해에는 O2O 앱 체계의 혁신이 지속적으로 이뤄졌고, O2O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결제 시스템 등이 구축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문화, 교통, 관광, 요식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인터넷이 중심이 됐다”고 덧붙였다.

 

[표 1] 중국 O2O 분야별 총 거래액

 

<중략>이미지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지난 4월 내놓은 ‘중국의 15개 소비 트렌드를 주목하라’ 보고서에서도 중국인들이 점점 온라인 구매와 O2O 서비스 활용에 나서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소비는 소비욕구 증대, 구매채널 다양화, 소비자간 네트워크 확대 등이 반영된 15개 트렌드가 각광받고 있다.

 

<중략>

 

중국 BAT의 멈추지 않는 투자

 

중국 O2O 시장의 성장은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로 대표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한 중국 IT 기업들의 활발한 투자에 힘입은 바도 크다. 특히 자금력이 탄탄한 세 기업은 최근 O2O 시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