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계 '수퍼스타' 싹 빨아들이는 구글·애플
조선일보 2015.10.26(월) 박건형 기자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5102600092
구글, 헬스케어·癌진단 핵심 두뇌로 하버드 유명 심장醫 BT책임자 영입 애플도 휴대폰 데이터로 건강진단사업 "과학자들도 연구 상용화 만족해 이직"
심장 전문의 제시카 메가(Mega·41·여) 박사는 전 세계 의학계에서 '떠오르는 별'로 불리는 인물이다. 30대 중반에 하버드대 의대 교수가 된 그는 혈전 용해, 관상동맥 질환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잇따라 내놓으며 주목받았다. 하지만 그는 지난 3월 돌연 하버드 교수직을 버리고 학계를 떠났다. 의학계는 촉망받는 학자가 떠났다는 사실에 아쉬워하면서도 그의 새로운 직장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메가 박사는 다른 대학이나 제약사가 아닌 인터넷 기업 구글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구글 생명공학 총괄 책임자'가 그의 새 직함이다.
◇과학계 수퍼 스타들, 구글·애플에 새 둥지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22일(현지 시각) 최신호에서 "메가 박사를 비롯한 과학계의 수퍼 스타들이 최근 구글, 애플,IBM 등 첨단 IT(정보기술) 기업으로 자리를 옮기고 있다"고 전했다. 이 기업들은 높은 임금과 다양한 복지로 유명하지만, 과학자들이 기업으로 가는 것은 이런 조건 때문이 아니다. 네이처는 첨단 기업들의 발전 가능성에서 과학자들의 이직 이유를 찾았다.
구글이 의학·생명과학 분야 과학자들을 영입해 개발 중인 종합 의료 서비스 ‘구글 칼리코’는 질병 진단과 치료법까지 제시할 예정이다. 이 회사가 개발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당뇨병 환자의 눈물을 분석해 혈당치를 알려준다(아래 왼쪽). 아래 오른쪽은 하버드대 의대 교수직을 내려놓고 구글 생명공학 총괄 책임자로 자리를 옮긴 심장 전문의 제시카 메가. /구글 제공
<중략>
원래 구글은 기초과학보다는 공학 기술력에 기반해 발전한 기업이다. 구글의 출발점인 검색 엔진이 소프트웨어 공학의 산물이고 스마트폰 운영 체제 '안드로이드'나 증강(增强) 현실 기기 '구글글래스'도 과학자보다는 공학 기술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구글은 기초과학자들을 끌어모으기 시작했다. 헬스케어와 암 진단 등 앞으로 본격적으로 진행할 사업의 핵심이 기초과학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기초과학과 공학기술의 결합
<중략>
전문가들은 기초과학자들의 첨단 기업행이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인텔,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도 맞춤형 암 진단서비스 등 새로운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처는 "과학에 대한 첨단 기업들의 접근 방식은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고 있다"면서 "더 많은 과학자가 첨단 기업에 모여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개발 '속도전'...2019년까지 출시 (0) | 2015.10.26 |
---|---|
구글·아마존·MS 3Q는 어닝서프라이즈...애플 역시 좋은 실적 예상 (0) | 2015.10.26 |
콘텐츠 플랫폼으로 진화한 SNS… 콘텐츠 소비 늘면서 개인 간 소통 약화 (0) | 2015.10.25 |
팀 쿡 애플 CEO ‘곧 아이카 경험할 것’...자동차 산업 혁명 예고 (0) | 2015.10.24 |
페이스북, 23일(현지 시각) 시가총액 327조 원 돌파...삼성전자 1.55배 (0) | 201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