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 전환… 엇갈린 각계 반응
세계일보 2015.10.12(월) 서필웅·김승환·권구성 기자
http://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022&aid=0002931032&ntype=RANKING&rc=N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10/12/20151012004057.html?OutUrl=naver
“민주주의 도전… 철회를” “국가 정상화 필수 작업”
정부가 중·고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공식화한 12일 교육계와 학계, 시민사회 등은 두 쪽으로 갈라졌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400여 진보 성향 단체의 연대기구인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의 이름으로 서울 종로구 청운효자동주민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며 국정화 추진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국정교과서는 헌법이 강조하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위배되며 ‘폭넓게 교과서가 채택돼 교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유엔의 역사교육 권고에도 반한다”고 지적했다.
<중략>
“철회하라” 대학생 겨레하나 등 청년단체 회원들이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규탄 청년·학생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 남정탁 기자
<중략>
신운용 안중근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 정부가 역사관을 강요하는 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며 “정부가 역사교과서를 만들게 되면 정권 교체 때마다 ‘역사 전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방은희 역사정의실천연대 사무국장은 “(친일독재 미화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만 해도 2년반 동안 집필했는데도 엄청난 오류가 드러났다”며 “현재 주어진 시간이 1년 정도밖에 없는데 이 기간 동안 얼마나 정확한 교과서를 만들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동참하라” 올인코리아 등 보수단체들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협조 촉구 기자회견을 한 뒤 정치권과 언론, 교육계의 동참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 남정탁 기자
이에 맞서 보수성향의 한국교원총연합회는 “역사학적 관점이 아닌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미래세대와 현 세대의 올바른 역사관 함양과 역사교과서 내용 정립을 위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과정이 필요하다”며 정부 방침을 지지했다. 바른사회시민연대 등 보수 성향 시민단체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 모여 정부의 국정화 결정에 힘을 보탰다. 맹천수 바른사회시민연대 대표는 “국정화는 국민이 환영하는 국가 정상화를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지 불필요한 갈등을 촉발하는 게 아니다”며 “교육부는 책임지고 자긍심을 고취하는 국정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현재 교과서 국정화 문제가 정치 이념 투쟁의 소재로 소비되고 있다. 교육부는 교과서 문제의 당사자인 학생과 학부모와 적극 소통하려는 노력을 통해서 정치 공세에 흔들리지 않고 양질의 교과서를 펴내도록 해야 한다”(이희범 역사교과서대책범국민운동본부 사무총장)는 의견도 있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 혁명이 향후 20년 안에 전 세계 힘의 균형을 바꾼다 (0) | 2015.10.13 |
---|---|
한국 경제의 성장 한계 돌파를 위한 4대 산업혁신전략-한국공학한림원 (0) | 2015.10.13 |
한국노인, 복지수준 96개국 중 60위...소득보장 부문에선 82위로 꼴찌 면해 (0) | 2015.10.12 |
한국 대표기업 `삼성전자·현대차`마저 글로벌시장서 설자리 잃을 위기 (0) | 2015.10.11 |
헬조선을 살아가는 N포세대..."포기만 하며 사느니 한국 포기" 짐싸는 2030 (0) | 201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