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한국 대표기업 `삼성전자·현대차`마저 글로벌시장서 설자리 잃을 위기

배셰태 2015. 10. 11. 08:23

간판기업 삼성전자·현대車마저 글로벌시장서 설자리 잃을 위기

매일경제 2015.10.10(토) 노영우,박준형,전범주,정석우 기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966837

 

IT·조선 밀려나고 화장품·제약은 걸음마…대기업 대표계열사 20곳중 14곳, 4년 벌어도 빚 못갚아
"중국 특수로 인한 1등 환상에 싸여 투자·인수합병 소홀 대가 치르는 중"

 

◆ 기업發 경제위기 ⑥ ◆  

 

 기사의 0번째 이미지

 

한국 대표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갈수록 밀려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강점을 가진 IT, 자동차, 조선, 건설 등은 물론 화장품, 제약·바이오 등 미래 성장동력 산업으로 생각하는 분야에서도 세계 선두권과 격차가 크다. 기업들은 뒤늦은 추격이긴 하지만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5000대 기업에서 한국 기업은 2004년 196개에서 2014년 182개로 줄었다. 같은 기간 글로벌 5000대 기업 이익에서 한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6%에서 2.3%로 감소했다.

모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기업들이 2000년대 자체 기술 향상이 아닌 중국 특수로 인해 성장했던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자신들이 1등이라는 안일한 생각을 하면서 투자나 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던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근 국내 대기업들의 수익성 또한 급격히 나빠졌다.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국내 20대 그룹 주력 계열사 20곳 중 4곳은 영업적자를 지속하고 있고 10곳은 4년 이상 지금처럼 돈을 벌어야 부채를 갚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20개사 중 14개사, 즉 3곳 중 2곳이 4년 동안 벌어도 지금의 부채를 갚을 수 없다는 얘기다. 

<중략>

업종별로 한국 대표 기업들을 살펴보면 메모리반도체 최강자인 삼성전자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시스템반도체(비메모리 반도체)에서 명함을 내밀지 못하고 있다. 시스템반도체는 다양한 기능을 집약한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만든 반도체로 여러 기능을 일괄 처리하는 한 단계 발전된 반도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시스템반도체 시장 규모는 총 1965억달러(231조6000억원)로 655억달러(77조2000억원) 규모인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3배에 달한다. 시스템반도체 중 스마트폰 핵심 부품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의 경우 2013년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0.6%에 불과하다. 반면 1위 기업인 인텔의 점유율은 60.4%에 이른다. 이 시장 규모만 603억달러(71조2000억원)에 달한다. 휴대폰 1위 자리 역시 불안하다. 삼성전자 올 상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휴대폰 점유율은 2013년 26.8%에서 올해 상반기 21.4%로 감소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점유율 역시 2013년 31%에서 올해 1분기 23%까지 줄었다. 같은 기간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5개 휴대폰 업체의 점유율은 16.3%에서 22.6%로 증가했다.

삼성전자 역시 이 같은 위기를 인식하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휴대폰의 경우 중저가 제품군에서도 신모델 도입 등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연구개발과 마케팅 등 전 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며 시스템반도체도 거래처와 제품 다변화 등으로 성장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밝혔다.  
 

<중략>이미지 

 

현대·기아차는 아직까지 연구개발 투자 부문에서 글로벌 기업과의 격차가 크다
.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연구개발비는 32억달러(3조7700억원)를 기록했다. 반면 생산 1위 업체인 도요타는 92억달러(10조8800억원), 2위인 폭스바겐은 174억달러(20조5800억원)에 이른다. 전문가들은 현대차가 지난해 10조원이 넘는 거금을 본사 사옥 용지 매입에 사용한 점을 지적한다.

국내 조선 3개사들도 수익성 측면에서 점차 중국 기업에 뒤지고 있다.

 

 <중략>

 

1위 화장품 업체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화장품 기업과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아직은 격차가 크다

<중략>


정부나 경제계에서 신성장 동력으로 기대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산업 역시 글로벌 기업과 비교하기 힘들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