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노인의 날..늙어가는 대한민국]
"오래 살기만하면 머하노"..노인 4명중 3명 "삶에 불만족"
헤럴드경제 15.10.01(목) 서경원ㆍ이세진 기자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1001000482&md=20151001114749_BL
올 65세이상 인구 662만명…전체인구의 13% 웃돌아
10명중 6명은 연금수령액 0…인프라 부족하고 친구도 없고…
“건강하고 재밌어야지 오래 살기만 하믄 뭐하겄노. 혼자 적적하고 힘들게 살 것이면 일찍 뜨는게 낫재”
대한민국이 급속도로 늙어가고 있다. 1일 통계청의 ‘2015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662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3.1%를 차지했다. 10년 전보다 200만명 증가한 것으로, 전체 인구 8명 중 1명은 노인인 셈이다.
예전보다 오래 살긴 하지만 상당수 노인들은 현재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의료기술 발달 등으로 백세시대가 열렸지만, 삶의 질적인 측면에선 후진국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어 장수가 축복이 아닌 저주란 지적도 나온다.
2년 뒤엔 ‘노인수>아이수’=2015 노령화지수(0~14세의 유소년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94.1명을 기록, 5년 전보다 25.7명 높아졌다. 2년 뒤엔 104.1명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추월해 본격적인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다.
‘N포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이 결혼이나 출산을 포기해 아이들은 줄어들고 동시에 노인들의 수명은 길어지면서 아이들 수와 노인 수의 역전 현상이 앞당겨지고 있는 것이다. 2060년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40%대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고령화는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삶의 질은 여기에 못미치고 있다. 실제로 자신의 삶에 만족하다고 응답한 고령자는 25.6%에 불과했다. 65세 이상 인구 4명 중 3명은 삶에 불만족하거나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데에는 불안정한 경제 여건이 최대요인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66~75세 빈곤율은 45.6%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11.0%을 크게 웃돌면서 세계 최고에 랭크돼 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도 올해 30%를 넘어섰다.
▶10명 중 6명 연금수령액 ‘0원’
=노인 복지수준도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등 공적연금을 받는 고령자는 지난해 253만1000명으로 전체의 39.6%였다. 아직 노인 10명 중 6명은 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연금을 받더라도 수령액은 턱없이 적다. 절반 이상이 월 10만~25만원 정도를 받고 있다. 스스로 돈을 벌려는 노인들도 늘고 있지만, 대부분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중략>
사정이 이렇다보니 생활고와 극심한 고독감 등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노인들도 늘고 있다. 작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55.5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압도적으로 높은 상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F '세계 금융 경쟁력 순위' 발표....한국, 꼴치 아닌 당당하게 87위에 랭크 (0) | 2015.10.03 |
---|---|
20대, 60대 생계형 창업붐이 반갑지 않은 이유 (0) | 2015.10.03 |
ICT(SW) 후진국 한국은 최강국 중국에게 배우는 걸 절대로 부끄러워 말라 (0) | 2015.10.02 |
한국의 미래성장동력 분야와 중국의 ‘제조 2025’ 육성 대상 비교와 대응 전략 (0) | 2015.10.02 |
미래는 1인 창업시대, 7포세대들의 일자리는 미래 유망 직업으로 해결하자 (0) | 201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