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돋보기> 청년의 상실감이 만들어낸 유행어 '헬조선'
연합뉴스 2015.09.18(금) 현혜란 기자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50916129800033&mobile
다음소프트 SNS 분석…올해 '헬조선' 언급량 10만건 돌파
"청년층, 사회의 구조적 문제 자각" vs "개인불만 사회탓으로 돌릴 우려"
'가계 부채 있음, 집에 비데 없음, 옷장 안에 유행 지났는데도 꾸역꾸역 쟁여놓은 옷이 많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에서 유행처럼 번진 '흙수저 빙고게임'에 등장하는 항목들이다. 가로, 세로, 대각선 어느 방향으로 든 5개 항목에 해당해 한 줄로 연결되면 그 사람은 '흙수저'라고 한다.
여기서 '흙수저'는 유복한 부모 밑에서 나고 자랐다는 뜻의 '은수저를 물고 태어났다'는 표현에서 따온 것으로, 가난의 대물림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수저론'은 "한국에서의 삶이 마치 지옥(hell)과도 같다"고 부르짖는 누리꾼들이 만들어 낸 이론이다. 이와 맞물려 온라인에서는 '헬조선'이라는 신조어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다. 한반도(조선)를 '지옥'에 빚댄 말이다.
'헬조선'은 취업난, 전세난 등으로 상실감을 느끼는 청년층의 현실을 일정 부분 반영한 유행어로 보이지만, 우리나라를 '지옥'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편향적인 언어라는 지적도 있다. 어쨌든 올해 들어 온라인상에는 '헬조선'이라는 단어의 노출 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8일 빅데이터 분석업체 다음소프트에 의뢰해 블로그 6억9천922만7천349건과 트위터 72억8천472만2천255건을 분석해보니 '헬조선' 언급량은 2014년 5천277건에서 올해 9월 초까지 10만1천700건으로 껑충 뛰었다.
<중략>
<중략>
최근에는 '헬조선(www.hellkorea.com)'이라는 인터넷 커뮤니티까지 등장했다. 이른바 '헬조선' 사례를 공유하는 곳이다. 홈페이지 배너에 붙어 있는 글귀 '괴로우나 괴로우나 나라사랑'은 이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잘 보여준다.
지난 5월말 개설한 사이트 헬조선의 '베스트 게시판'에는 1천 건이 넘는 글이 올라와 있다. 베스트 게시판은 한국에서 일어난 소식을 공유하는 '헬조선'과 외국에서의 삶이 어떻게 다른지 알리는 '탈조선'으로 나뉜다.
올라오는 글의 주제는 다양하다. 청년실업, 자살률, 노동강도, 외모지상주의, 존속살인, 각종 성범죄, 국회의원의 자녀 취업 청탁,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 등 성역이 없다.
<중략>
온라인의 신조어로 떠오른 '헬조선'을 바라보는 시선은 엇갈린다.
민경배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과 교수는 청년세대가 한국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해 자각했다는 방증이라면서 이들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섰다고 진단했다.
그는 "청년층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 자체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그 구조 안에서는 뭘 해도 안 된다는 점을 깨닫고, 그 구조를 '헬조선'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 교수는 "구조의 문제점을 자각했다는 것만으로도 과거보다 진일보한 셈"이라며 "구조를 자각했으니, 그 구조를 바꾸려고 노력해야 하는데 아직 그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반면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헬조선'이라는 유행어에 대해 개인의 분명한 잘못까지 사회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를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곽 교수는 "옆에서 누가 짜증을 내면 나도 짜증이 나듯이, 불만은 전염병처럼 번지는 특성이 있다"며 "온라인에서 군중심리도 작동하는 것 같다"고 '헬조선' 붐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곽 교수는 "분명히 자기 자신의 문제일 수도 있는 것을 무조건 사회 탓으로 돌려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속이 시원해지면서 카타르시스 효과는 있겠지만 그게 너무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고 조언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패전 70년만에 재무장…"한반도에 군사영향력 확대 꺼림칙" (0) | 2015.09.19 |
---|---|
[글로벌 교육포럼 2015] 존 버그만 "암기식 한국교육, ICT 통해 토론수업으로 바꿔야" (0) | 2015.09.18 |
주거용 부동산 전·월세 대란 부추기는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청개구리 정부' (0) | 2015.09.18 |
미국 Fed, 기준금리 동결 결정, '글로벌 경제 리스크' 확인…한국 증시에 부정적 (0) | 2015.09.18 |
미국 연방준비제도, 17일(현지시간) 기준금리 동결 결정...연말 전 인상 전망 (0) | 201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