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가져올 인류 문명의 역설
한국경제 2015.07.20(월) 김민주 리드앤리더 대표이사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50&aid=0000038111
로봇 활용에 따라 삶의 질 차별…19세기 기계파괴운동 재현되나
15년 전인 2000년께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 즉 정보 격차라는 말이 큰 인기를 끌었다. 정보기술(IT) 혁명이 번질 당시 디지털 기술을 잘 활용하는 사람은 큰돈을 벌지만 디지털 문맹들은 일자리를 잃거나 소득이 떨어진다는 것이었다. 디지털 활용 여부에 따라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다는 진단이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PC·인터넷·스마트폰 등 디지털 환경에 많이 익숙해졌기 때문에 더 이상 정보 격차를 거론하고 있지는 않다.
시대가 지나면서 새로운 키워드가 등장했다. 바로 로보틱스 디바이드(robotics divide), 즉 로봇 격차다. 이제는 로봇 활용 여부에 따라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사람들은 로봇이 일부 업종에서 인간을 대체하는 것을 걱정했는데, 단지 일부 일자리 소멸 외에 이젠 사회적 차원의 소득 불평등까지 걱정해야 할 처지다.
이미 큰 공장에서는 자동화가 많이 진전됐기 때문에 흔히 떠올리는 로봇의 모습은 아니지만 실제로는 로봇이 공장 여기저기에서 일을 아주 열심히 하고 있다. 제품 생산은 물론이고 제품을 이동시키는 물류 기능도 로봇이 담당하고 있다. 공장 전체 운영을 말끔하게 진행하는 소프트웨어 역시 로봇과 같다.
200년 전 영국서 벌어진 러다이트 운동
로봇 하면 생산에만 국한된 것처럼 생각되지만 알고 보면 서비스 분야에도 로봇의 침투 정도가 예사롭지 않다. 엑셀 스프레드시트의 보급으로 경리 담당자 수요가 크게 줄어들었고 앞으로 운전자가 없어도 운전이 가능한 무인 자동차가 크게 보급되면 초보 운전·졸음운전·음주운전처럼 인간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는 크게 줄어들 것이다. 그러면 그동안 인간의 실수 덕분에 돈을 벌었던 보험 업계나 자동차 부품 업계가 타격을 받을 것이다.
<중략>
이런 특화 서비스 로봇이 속출하면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에서 인간이 설 자리는 자꾸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분을 참지 못하고 로봇을 부숴 버리는 사태가 200년 전의 러다이트운동(Luddite movement) 때처럼 다시 벌어질지도 모른다.
<중략>
과다한 기계 사용이 소득 불평등 심화시켜
사실 이러한 기계파괴운동은 노동자들이 기계 때문에 일자리를 잃어 발생하기도 했지만 대륙 봉쇄령 당시 공장의 열악한 상황과 폭등하는 생활비에 비해 터무니없게 낮은 임금에 대한 불만도 이유였다. 따라서 러다이트운동의 원인을 오로지 기계에 대한 공포로만 간주하는 것은 지나치게 단순한 논리다.
지금은 좀 조용해졌지만 지난해 토마 피케티 신드롬으로 세상이 시끄러웠다. 피케티는 자본 수익률이 경제성장률보다 높아 경제에서 자본이 차지하는 자본 점유율이 갈수록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자본주의의 파국을 막기 위해서라도 자본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개인의 경제적 자유주의를 그토록 강조했던 보수주의 경제학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자신의 철학과 어울리지 않게 일찍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미국이 만약 망한다면 그 이유는 과도한 사회적 불평등 때문일 것”이라는 지적이었다. 백인과 유색인 간, 남녀 간의 소득 불평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수익률 차이, 부자와 빈자 간, 자본가와 노동자 간의 차이가 다 해당된다.
그런데 이러한 소득 불평등의 악화가 기계와 로봇의 사용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중략>
현재 선진국에서는 인구가 정체된 곳이 많다. 또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3D 직종을 잘 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으로부터 이민을 받아들이곤 한다. 하지만 이민은 사회 갈등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인간을 귀찮게 하지 않는 로봇을 선호한다. 또 기계는 기업주를 곤경에 빠뜨리는 노사분규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효율적이고 스마트하게 운영할 수 있는 시설 투자를 지속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제본스의 역설(Jevons paradox)’이 발생한다.
인간의 창조성까지 대체하려는 로봇
19세기 영국의 경제학자인 윌리엄 제본스는 자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이 개발되면 그에 따라 자원의 가격이 떨어져 수요가 증가해 오히려 그 자원을 더욱 많이 소비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즉 자원 소비를 줄이려는 기술 혁신 시도가 오히려 자원 소비를 늘린다는 것인데 이른바 제본스의 역설이다.
<중략>
제본스의 역설이 로봇에도 나타날 수 있을까. 발생 소지가 충분하다고 본다. 로봇은 기계 성격도 지니면서 인간 성격도 동시에 지닌다. 다시 말해 물적 자본과 노동의 중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지금 현재 로봇이 비싸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어느 정도의 가격대로 떨어지면 로봇에 대한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다. 특히 놀라운 기술 혁신으로 로봇 가격이 인간의 노동임금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면 로봇의 인기는 더욱 치솟을 것이다. 안타깝게도 인간의 플라스틱 사용이나 화석연료 사용처럼 로봇의 사용은 이미 임계치를 벗어났다.
영화 ‘에이아이(A.I.)’에서 보듯이 후세 인간들은 로봇들을 파괴하는 축제를 통해 평소에 여러모로 로봇에 밀리며 꾹 참았던 스트레스를 해소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고장 난 로봇을 수리하는 일을 하면서 간신히 입에 풀칠을 하면서 살지도 모른다. 그중 똑똑한 인간들은 돈 많은 소비자를 위해 보다 스마트한 로봇 개발에 더욱 매진할 텐데, 이는 상황을 역전시키기는커녕 가속화시키고 악화시킬 뿐이다. 제본스의 역설은 여전히 우리를 지배한다.
<중략>
소득 불평등 악화의 큰 원인 중 하나는 자본가가 하드웨어든 소프트웨어든 기계를 효과적으로 활용해 많은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에 투자해 큰 수익을 올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러한 기계가 인간의 기능을 대체하는 로봇으로 변모하고 있다.
로봇으로 인해 급속하게 다가오는 로보틱스 디바이드 사회에서 우리가 버티려면 로봇 사업에 빨리 진출하든지 아니면 자신이 하는 일에 로봇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찾고 터득해야 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실업, 고학력·비정규직 등 '3중고'로 악화...임금불평등 남유럽보다 심해 (0) | 2015.07.20 |
---|---|
청년세대을 '동정'과 '희망'으로 바라보는 한국사회의 이중적 시선 (0) | 2015.07.20 |
한국에서 개천서 龍 나기 어렵다…선택의 순간, '인생' 사라지고 '가격' 만 남아 (0) | 2015.07.20 |
세계는 지금 일자리 전쟁 중...한국, 일자리 창출 어떻게 하면 잘 할까? (0) | 2015.07.20 |
벤처 1세대에게 길을 묻다...벤처3敵 중 가장 무서운건 `연대보증`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