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그리스를 무너뜨린 부패...부패인식지수 55점의 한국, 과연 다른가?

배세태 2015. 6. 29. 12:45

[대담한 경제] 그리스를 무너뜨린 부패, 과연 한국은 다른가?

KBS 2015.06.29(월) 박종훈 기자

http://mn.kbs.co.kr/mobile/news/mNewsView.do?SEARCH_NEWS_CODE=3103560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PAGE_NO=&SEARCH_NEWS_CODE=3103560

 

 

박종훈의 대담한 경제 #30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이 2%대로 추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KDI뿐만 아니라 한국은행과 IMF, OECD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더기로 하향 조정하고 있다
. 이렇게 성장률 전망을 지속적으로 낮추었던 것은 지난 해에도 마찬가지였다. 성장 동력이 하도 빠르게 식어가다 보니 예측이 거듭 빗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성장 동력이 약화되다 보니, 우리나라가 성장을 멈추고 남유럽처럼 쇠퇴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우리가 경제위기로 흔들리고 있는 그리스를 비롯한 남유럽의 전철(前轍)을 밟지 않으려면, 그들이 왜 위기에 빠졌는지 철저히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과연 우리는 10년 뒤에 그리스 경제처럼 끝없이 추락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 그리스인들은 결코 나태해서 망한 것이 아니다

<중략>


그렇다면 독일인보다도 낮은 복지 수준에서 더 많이 더 오래 일하는 그리스인들은 왜 경제위기까지 겪게 된 것일까?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되어 있지만, 그 중 하나는 바로 그리스의 수영장에서 찾을 수 있다.



■ 그리스가 망한 이유, 수영장에 물어라!

<중략>


극심한 경제 위기로 재정난에 시달리던 그리스 세무당국이 구글 어스로 수영장을 찾아내 세금을 물리기 시작하자, 이번에는 그리스 부자들이 꼼수를 쓰기 시작했다. 잔디 색깔이나 콘크리트 색깔의 방수막으로 수영장을 가려 위성이나 항공사진으로 수영장을 찾아내지 못하도록 꼭꼭 숨긴 것이다. 그리스가 국가부도 위기에 처했는데도 그리스 부자들은 여전히 탈세에만 몰두하고 있다.

<중략>

트리트 저널은 그리스의 금융위기를 대표하는 단어로 ‘파켈라키(Fakelaki)’를 들었다. 파켈라키는 ‘작은 봉투’를 뜻하는 그리스어로, 세무서나 각종 인·허가 담당 공무원에게 주는 뇌물을 뜻한다. 그리스에서는 세금을 떼먹기 위해서, 또는 돈을 빌리거나 교수 임용 청탁 등 모든 부탁이나 청탁을 할 때 무조건 돈 봉투를 건네는 것이 아예 관행으로 굳어져 있을 만큼 부정부패가 만연해 있다.

■ 부패는 경제의 윤활유가 아니라 걸림돌이다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는 뇌물이 일상화된 그리스에서 2009년 한 해 동안 9억 유로가 뇌물로 오고갔다고 집계하였다. 그리스 사람 한 명이 한 해 평균 1,500유로, 우리 돈으로 180만 원을 뇌물로 쓴 셈이다. 이 때문에 국제투명성기구는 그리스 부유층의 탈세와 부정부패가 그리스를 위기로 몰아넣은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하고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씽크탱크 중 하나인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도 그리스 국내 총생산의 최소 8%인 200억 유로(24조 원)가 탈세와 부패로 사라지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리스가 스웨덴만큼 투명했다면 2000년 이후 10년 동안 국가재정에서 흑자를 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문제는 우리나라 또한 부패문제가 경제의 발목을 잡을 만큼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이다. 2014년 우리나라의 부패한 정도를 나타내는 부패인식지수는 100점 만점에 55점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 27위로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는 2008년 56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7년 동안 계속 뒷걸음질만 치고 있다.

같은 유럽국가라도 부패인식지수가 90점에 육박하는 노르웨이나 스웨덴의 경제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해 온 반면, 이탈리아나 그리스처럼 40점 대에 불과한 나라들의 경제성장률은 매우 저조한 편이다. 실제로 부패인식지수가 10점 떨어지면 경제성장률이 1% 포인트 가량 낮아진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와 있다. 지금처럼 각종 부패가 난무하는 현실을 그대로 묵과한다면, 우리 국민들이 아무리 근면하다고 해도 그리스처럼 만성적인 경제 침체에 빠지는 것을 막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 무엇이 우리의 미래를 좌우할 요소인가?

물론 그리스가 위기에 빠진 직접적인 원인은 유로화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독일처럼 유로화 채택을 번영의 기회로 삼은 나라도 있기 때문에 단순히 유로화 탓만 할 수는 없다. 유로화 채택이 기회가 되었던 독일과 달리, 그리스에 오히려 위기의 단초가 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최악의 부정부패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그리스 국민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그 대가를 받기는커녕 극심한 경제난에 허덕이게 되었고, 헤픈 복지에 빠진 나태한 국민이라는 오명까지 쓰게 된 것이다.

과연 우리 경제는 그리스와는 다른 길을 갈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는가? 10년 뒤 뼈아픈 후회를 하기 전에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선진국 수준의 투명한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제대로 방향타를 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스처럼 일단 벼랑 끝에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오는 것은 지금의 위치를 지키는 것보다 몇 배는 더 힘들고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 바로가기 <박종훈의 대담한 경제>


☞ [대담한 경제] ‘부자의 돈’은 아래로 흐르지 않는다

☞ [대담한 경제] 나는 금융회사에 속고 있다? 내 돈 지키는 설명서

☞ [대담한 경제] 인구절벽! 당신의 노후가 위험하다

☞ [대담한 경제] 가계부채, 세계의 경고 속 태평 대한민국

☞ [대담한 경제] 세계는 임금 인상 열풍…거꾸로 가는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