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유경제 플랫폼 도입을”…개인 전력 생산·소비 빅데이터 파악돼
전자신문 2015.06.16(화) 정형 기자
http://www.etnews.com/20150616000258
에너지산업에 ‘공유경제’ 개념을 도입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에너지 설비 정보를 사회적 플랫폼에 올려 공유하고 필요한 만큼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함께 소비하자는 취지다. 국가적 자원 낭비는 물론 기후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나아가 일자리 창출도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6일 개최한 제5차 에너지테크 혁신포럼은 ‘기후변화 대응, 공유경제 에너지플랫폼’ 란 그동안 에너지산업과는 동떨어진 듯한 주제를 내걸었다. 스마트경제에나 어울릴 법한 공유경제 개념까지 붙여졌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제시한 주요 정책과 기술 개발 논의가 있었지만, 무엇보다 눈길을 끈 것은 ‘에너지 공유경제 플랫폼’이다.
장기적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기술적인 에너지 효율 향상과 신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란 바탕 위에 빅데이터 기반 공유경제 구축하고 이를 지역단위 경제모델로 키우자는 새로운 접근법이 제시됐다.
전하진 의원(새누리당)과 안남성 전 에너지기술평가원장이 주제발표를 통해 제시한 에너지 공유경제 모델은 모든 에너지 설비 정보의 공유와 단위수준까지 거래 활성화로 요약할 수 있다. 현재 대용량 발전소는 물론 지역단체나 개인이 운영하는 소규모 발전설비의 전력까지 모두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목표다.
<중략>
지금까지는 한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해안가 대형 발전소가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송전망으로 전송해 공급했다면, 앞으로는 해당 지역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개인 소유 신재생에너지 설비에서 끌어 모아 충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때로는 전력이 필요한 다른 곳에 판매할 수도 있다. 대용량 발전소가 대량 생산한 전력을 대량 소비하는 경제에서 필요한 만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공유경제로 패러다임이 바뀌는 셈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스마트그리드 등 전력과 ICT 융합 에너지신산업이다. ICT를 활용해 개개인 전력 상황을 수집·거래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환경 구축이 우선이다.
<중략>
◇에너지 공유경제
=스마트폰 확산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일상화되면서 기존 소유·독점·일방제공 형태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끼리 나누고·함께 쓰는 형태로 발전한 신소비 방식. 숙식(에어비앤비)·택시(우버)·자가용(쏘카) 등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 개념을 전통적 국가 공급 체계인 에너지 분야에 적용한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는 방송, ‘먹방’과 미래 경제구조인 '공유경제' (0) | 2015.06.18 |
---|---|
아마존, '공유경제 모델' 도입 예정...일반인(프로슈머) 활용한 배송 추진 (0) | 2015.06.18 |
창조경제, 창조적 일확천금보다 월200만원을 고민하자 (0) | 2015.06.17 |
디지털 창조경제 시대, 미래는 융합인재 시대…STEAM·SW 교육이 핵심 (0) | 2015.06.16 |
미래 경제구조인 '공유경제의 시대' (0) | 201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