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뚱한 생각(Moonshot 사고)과 완전히 다른 분야와의 제휴, 10%가 아닌 10배로 더 좋은 기술, 제품, 서비스만 성공할 수 있다
인데일리 2015.06.11(목) 박영숙《유엔미래보고서 2045》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 우주에서 3D프린터 사용, 메이드인 스페이스 제이슨던과 박영숙, 호세코르데이로 교수
Moonshot 사고로 스스로를 파괴하며 기존의 생각을 부수는 방법이 비즈니스에 성공하는 방법이다. 문샷 즉 달을 쏘는 아이디어, 엉뚱한 아이디어여야만 창업을 할 수 있다.
피터 디아만디스는 현재 포춘 500대 기업에 자문을 해주고 있다. 그는 오늘 날 포춘500대 기업의 40%가 10년 후는 존재하지 못한다고 예측한다. 그가 최근에 대기업들과 만나 제안한 자문관련 내용을 여기에서 우리에게 알려준다. 그들에게 충고한 이야기들이다.
기업은 어떻게 혁신 할 수 있을까? 현재 크고 작은 기업들이 변화의 쓰나미를 맞고 있다. 기업인들은 스스로를 파괴하여야하며 변화의 쓰나미 위를 써핑하듯이 흐름을 따라가야 한다. 그렇게 해야만 쓰나미에 의해 부숴지지 않을 수 있다.
성공의 3가지 전략
1.가장 큰 문제는 가장 큰 기회이다.
<중략>
2. "신성한 동맹"을 만들어야. 완전히 다른 분야와 파트너
대부분의 기업들은 업계에서 전통적인 회사 및 공급업체와 편안하고 안전하게 일을 할 생각을 한다. 제약회사는 다른 생명공학회사와 함께 일을 하며, 전자회사와 소프트웨어회사는 파트너로 협력한다. 항공우주회사는 항공우주회사들과 협업한다.
하지만 사업에 성공하기위해서는 "신성 동맹"을 찾아서 기존전략과 가치사슬과 완전히 다른 생각을 강제로 주입하며 자신의 분야에서 비 전통적인 사업가들과 파트너로 협업을 해야 성공한다. 동종끼리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완전히 엉뚱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과 함께 해야한다.
- 애플과 음악: 오늘날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해를 했지만 스티브 잡스가 처음 음악 산업에 애플을 가지고 들어갈때 사람들은 그를 미쳤다고 생각했다.
- 마이크로 소프트와 게임 : X박스는 MS의 거대한 출발이었다. 사람들은 모두 의아해했지만 지금은 엑스박스가 MS의 주요 수익모델이 되었다.
- 3D시스템스와 허쉬 초코렛: 이 두 파트너는 초콜릿을 3D프린터로 만들어 대성공을 이뤘다.
- 항공우주국 (NASA)과 레고: 어울리지 않는 파트너지만 STEM교육 플랫폼으로 NASA는 레고를 사용하여 우주를 탐험하게 하였다.
- 페이스북과 오큘러스/ 구글과 매직리프: 페이스북이 오큘러스리프트 가상현실과 구글의 매직리프에 투자했을때 처음에는 거의 의미가 없어보였지만 페이스북이 오큘러스를 매입한지 1-2년내에 우리는 그들이 가상현실산업의 꽃을 볼 수 있었다.
- 우버와 엄청나게 다양한 사업들: 우버는 구글과 완전히 다른 분야 사업이었지만 파트너로서 모든 사람들 즉 캐피탈원(Captal one)에서 값싼 지역 식당까지 즉 우버 이츠(Uber Eats)로 진전하고 있다. 우버는 다양한 산업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면서 파괴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우버는 이미 보헙회사, 대학교, 동물보호소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UberKittens는 동물보호소에도 홍보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물보호 분야에서도 수익모델을 내고 있다. 하나에서 모든 사람과 협력하고 모든 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전혀 관련이 없는 것 처럼 보이는 신성 동맹을 하였기 때문이다.
3.10배 이상의 수익을 내야하며 이는 반드시 문샷(moonshots) 생각을 가져야
대부분의 회사들은 자신의 기업을 10% 개선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비용을 10% 줄이려면 어떻게해야하나? 10% 수익증가는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나? 그러나 이는 충분치 않다. 10배로 줄이고 10배의 수익을 내야 사업에 성공할 수 있다.
아스트로 텔러(Astro Teller)는 구글의 "문샷 선장"역할을 한다. 그는 사람들이 항상 10% 더 좋아지고 더 잘하려고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다른 기업과 경쟁하여 가장 스마트한 기업가가 되기위해서 10% 더 잘하려고 할 때는 성공할 수 없다고 말한다.
아스트로 텔러는 대신 구글에서 말하는 문샷 사고(Moonshot Thinking)"은 10배 이상 좋아져야한다고 말한다. 10배 이상 저렴하고, 10배 이상 빠르고, 10배 이상 멋진 제품이나 서비스라야 문샷 아이디어라고 제안한다.
왜 10배 이상이어야하며 10%는 안되는가?
•10배 이상 더 좋아지거나 더 향상을 시키기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에도 결국 해결을 할 수가 있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문제를 공격 할 때 어떤 해결책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우리는 스스로 놀라고 충격을 받게된다.
•10% 개선보다 10배 이상 개선되는 것이 노력하는 데 비해 100배 이상 더 열심히 일하고 결국 100배 이상 더 가치가있음을 알게된다.
•moonshot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추고 팀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세계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우리의 문제나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야 성공할 수 있다.
어떤 사업을 하고 있든지 이 3가지 아이디어를 실천하면 성공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아이디어는 혁신하게하며 긴박감을 가져오며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 기능을 들여올 수 있다. 오늘이 최대의 변화의 시대이며, 변화 속도는 점점더 빨라지고 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유미 BNK투자증권 연구원, 미국 9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높다 (0) | 2015.06.12 |
---|---|
미국, 시간당 최저임금 두자릿수 인상 '도미노'..15달러(16600원)가`대세' (0) | 2015.06.12 |
한국 , 일본 제치고 중국의 2번째 교역대상국...수출 시장 다변화 필요 (0) | 2015.06.12 |
5년 내 '전통적인 금융회사'는 '저가의 금융기술 솔루션'으로 대부분 대체된다 (0) | 2015.06.12 |
[온라인 공개 강좌(MOOC)] ‘코세라’가 보여주는 온라인 교육의 미래 (0)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