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Outlook] 500억개 기계가 연결되는 시대 온다
매일경제 2015.04.17(금) 이호승 기자
http://m.mk.co.kr/news/headline/2015/365627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365627
‘GE의 아인슈타인` 마이클 아이들칙 글로벌리서치센터 부사장
세계 최고 수준 공학도들이 모여드는 GE. 그중 GRC(글로벌리서치센터)는 GE 내에서도 최정예 엔지니어들이 GE의 미래 먹을거리인 첨단기술을 연구개발해 사업화하는 곳이다. 마이클 아이들칙 글로벌리서치센터 부사장은 독보적인 공학·기술적 지식과 식견으로 GE의 선행기술 개발을 진두지휘하는 인물이다.
GE가 앞으로 몇 년간 최우선 순위를 두고 집중할 기술 6가지를 제시한 `넥스트 리스트(Next List)` 선정과 상용화를 주도하고 있기도 하다. 이 리스트에는 산업인터넷, 극한 기계, 슈퍼소재, 마인드매핑, 전천후에너지, 브릴리언트 팩토리(산업인터넷을 활용한 똑똑한 공장) 등이 포함돼 있다. 안팎에선 그를 `GE의 아인슈타인`으로 부른다.매일경제 MBA팀은 지난달 방한한 그를 만나 미래 산업의 모습과 기업들에 대한 조언 등을 들어봤다.
그는"4차 산업혁명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선 산업인터넷과 적층식 제조(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한 층씩 레이어를 쌓아서 제품을 만드는 방법) 등을 활용한 첨단제조기술와 첨단슈퍼소재를 결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며 "한국 정부와 기업은 연구개발(R&D)에 좀더 인내심을 가지고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다음은은 그와 일문일답.
―GE의 아인슈타인으로 불린다 들었다.
<중략>
―미래 산업이 어떻게 변할 것으로 보는가?
▷대부분 산업 장비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것이고 갈수록 많은 양의 데이터가 생성될 것이다. 세계적으로 500억개의 기계들이 있는데, 이들을 연결한다면 어마어마한 양의 매우 복잡한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산업 장비 연결은 계속 가속될 것이며, 고객의 특별한 수요에 맞춰 산업장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고객들의 생산성도 높여 줄 수 있다.
<중략>
제조산업의 미래도 마찬가지다. 점점 더 많은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를 수집하고 분석해 생산 및 역량 활용, 품질 수준 관리 등에 더 많이 활용할 것이다.
―한국에서도 제조업 3.0혁신 전략이 화두가 되는 등 제조업 혁신·첨단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첨단 제조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ICT,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적층식 제조 등 첨단제조기술, 첨단슈퍼소재 등 모두 중요하다. 특히 장기적인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산업인터넷과 첨단제조기법을 활용한 제조 능력과 탄소섬유나 세라믹 소재 같은 슈퍼 소재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을 결합하면 고유의 기술력을 갖게 돼 남들이 쉽게 베낄 수 없게 된다. 산업 장비 측면에선 한번 공급하면 30년 내지 그 이상 활용되기 때문에 고객과 장기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운영 최적화 등 부가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 R&D는 규모 면에서는 세계적이지만 성과나 상용화 등 질적 측면에선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조언을 부탁한다.
<중략>이미지
<중략>
―GE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의 경영전략 `린스타트업(Lean Startup)`에서 착안한 `패스트웍스(FastWorks)`를 시행해 짧은 기간에 뛰어난 품질 제품을 내놓고 있다. GRC에선 어떻게 활용되나?
<중략>
―어렸을 적 수학에 매우 깊은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중략>
―"기술은 열정의 대상이지 사랑의 대상은 아니다"는 말을 한 적 있다.
▷기술 혁신에 임하는 방식에 대해서 얘기한 것이다. 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열정이 필요하지만 사랑에 빠지게 되면 눈이 멀기 때문에 멈춰야 할 때를 놓치거나 방향을 바꿔야 할 때 못 바꿀 수 있다. 전략적 사고로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왜 이 기술 혁신이 중요한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O2O 사업 본격화하는 알리바바, 기름도 판다...주유소 5000개 통째로 인수 (0) | 2015.04.18 |
---|---|
다음카카오 '수익 모델 발굴' VS 페이스북 '플랫폼 점유'...다른 '메신저' 공략 (0) | 2015.04.18 |
미국·영국·중국 등 각 정부가 P2P(Peer to peer)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 (0) | 2015.04.17 |
[돈 버는 지름길] 국내, 배달앱·택시앱 각 3개업체 서비스 비교 (0) | 2015.04.17 |
자동차 업계, 디지철카메라 등장 앞둔 코닥 같다...5년 내 로봇카 시대가 도래 (0) | 201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