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노사피엔스 시대…스마트폰을 '도구'로 소비자도 진화
머니투데이 2015.04.06(월) 서진욱 기자, 홍재의 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5&oid=008&aid=0003448843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40211544230531&outlink=1
[포노 사피엔스-소비자의 시대] 기업들 간 경쟁 치열해지면서 소비자 선택권 확대
<중략>이미지
지금으로부터 15만~25만 년 전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가 지구에 등장했다. 이후 인류는 돌과 청동, 철을 도구화해 문명을 발전시켰다. 2007년 초 인간은 '스마트폰'이라는 새롭고 강력한 도구를 손에 넣었다. 이를 두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스마트폰 없이 살기 어려운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 시대가 도래했다'고 표현했다.
스마트폰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포노 사피엔스의 시대가 열리면서, 스마트폰을 손에 쥔 소비자들의 힘이 커지고 있다. 소비 과정에서 모바일에 탑재된 서비스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현명한 소비'를 이뤄내고 있다.
6일 구글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의 '글로벌 모바일 인터넷 경제의 성장'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13개국의 모바일 인터넷 매출은 2017년까지 연간 23%씩 성장해 1조5500억 달러(1720조35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년 6820억 달러에 비해 2.3배 큰 규모다.
<중략>이미지
모바일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면서 기업들 간 경쟁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주요 IT(정보기술)업체와 유통업체, 스타트업 등 업종과 규모의 구분 없이 모바일 플랫폼을 내놓고 있다. 본격적인 핀테크의 도입은 '소비의 혁신'을 이뤄낸 신용카드의 종말을 예고한다.
<중략>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는 최근 펴낸 '빅데이터를 움직이는 개인들이 온다, 당신의 시대가 온다'에서 "디지털 기기가 일반화되면서 개인은 전보다 더 많은 힘을 갖게 됐다"며 "소비자들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존재감을 확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소비자는 개인이자 새로운 미코노미(Me+Economy·개인이 중심이 되는 경제 생태계)의 중심"이라며 "이제 구매자들은 스스로를 하나의 브랜드로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IT업계 관계자는 "최근 화두인 핀테크 시장을 선점하려면 가맹점 수뿐 아니라 소비자에게 어떤 혜택을 줄 것인지도 고민해야 한다"며 "기업들 간 기술의 차별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눈길을 끌 당근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소비자들의 또 다른 무기다. SNS를 통해 형성된 소비자 여론은 기업에 큰 위협이 되는 경우도 있다. SNS 여론은 모바일을 통해 순식간에 퍼지기 때문에 신속히 대응하지 않으면 엄청난 후폭풍에 직면할 수 있다.
<중략>
최재홍 강릉원주대 교수는 "모바일의 등장으로 소비자 선택권이 늘어났을 뿐 아니라 자유도도 향상됐다"며 "O2O(online to offline) 등을 통해 오프라인 소비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시장을 보완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선탑재, 묶음 요금제 등 보이지 않는 제한이 존재할 뿐 아니라, 과소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청년 실업 오적(五賊)...정부와 관료집단, 정치권, 대기업, 교육부 (0) | 2015.04.07 |
---|---|
[미래 메가트렌드] 무소유주의 경제, 인터넷 속에 무수한 일자리 창출 (0) | 2015.04.07 |
대한민국, 인구 소멸 위기와 싸워 이길 수 있는 청년 투자의 새로운 대안 (0) | 2015.04.06 |
요지부동 대부업체 금리… 1% 시대에 34% 이상 이자 폭탄 (0) | 2015.04.06 |
[핀테크 빅데이터 바람] SNS로 신용도 평가… 성격·평판 따져 대출심사 (0) | 201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