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성공이냐 실패냐 분수령에 선 한국의 협동조합 ..현재 6,000여 개 설립

배셰태 2015. 1. 19. 17:46

성공이냐 실패냐 분수령에 선 한국의 협동조합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2015.01.19(월) 강민수 부소장

http://coops.or.kr/bbs/board.php?ca_id=&bo_table=02_4&wr_id=160

 

2012년 기본법 시행 이후 벌써 6,000여 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 이들 중 잘되는 협동조합도 있고 어려워 문을 닫은 협동조합도 있다.

 

협동조합으로 기업 하라고 강의도 하고 글도 써온 마당에 나는 되도록 많은 협동조합이 시장에 뿌리를 내렸으면 하는 바람에서 어떤 협동조합은 망하고 어떤 협동조합은 성공에 이르게 될까? 라는 문제에 대해 주로 고민해 왔다. 필요와 책임, 비즈니스 모델, 규칙, 자기 협동조합의 유형과 공동사업의 형태, 그리고 유대의 강화 등이 개별협동조합 차원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근래에 스페인의 몬드라곤 협동조합 내 파고르의 파산 등의 사례는 협동조합 기업의 흥망성쇠에 대해 좋은 대답이 될 수 있다.

 

고민의 범위를 넓혀 개별 협동조합이 아니라 협동조합이라는 새로운 개혁은 성공할 수 있을까? 라는 문제로 질문을 확장하면 어떤 답을 얻을 수 있을까? 이제 겨우 3년 된 협동조합이라는 개혁이 과연 우리 사회에 제대로 뿌리 내릴 수 있을까?

 

수학이론 중에 일명 생명주기 곡선 또는 S 커브라고 부르는 시그모이드 곡선(Sigmoid Curve)이란 것이 있다. 시그모이드 곡선이론에 따르면 국가, 기업, 상품 등 시작과 끝이 있는 모든 것은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며 소멸해 간다.

 

생명주기 곡선을 따라 움직이는 기업은 크게 두 번의 위험을 겪게 되는데, 특이점이라 부르는 첫 번째 위험은 도입기와 성장기 사이에 존재하며 변곡점이라 부르는 두 번째 위험은 성장기와 성숙기 사이에 존재한다.

 

개별기업이 아니라 협동조합이라는 하나의 개혁이 어떤 흥망성쇠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지에 관해서 쿡(Cook)이라는 미국의 협동조합 학자는 미국의 협동조합은 크게 5단계의 발전사를 거치게 되는 데, (1단계)는 1920년대 지역별로 농업협동조합이 설립되어 영리회사의 독과점 횡포를 견제하고 시장경쟁을 촉진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단계. (2단계)는 조합원에게 유리한 가격으로 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3단계)는 협동조합이 영리회사의 독과점 행사를 해소하면서 시장실패 문제가 해소되는 단계. (4단계)는 기간문제, 위험문제, 통제문제, 무임승차문제 등 협동조합의 구조문제. (5단계) 협동조합 구조문제에 직면하여 전략적 선택 대안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되는 단계에 이르러 시장에서 탈퇴하는 것, 사업을 지속하는 것, 조직구조를 바꾸는 방안 등이 논의된다.

 

협동조합의 마지막 발전단계에서 미국의 협동조합들은 ‘사업지속’은 자회사나 합작투자 등의 형식으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기본출자제, 비례투표제 등으로 내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며 자본부족문제를 해소한다. ‘조직구조 전환’은 구조문제를 해소하는 신세대 협동조합과 같은 비례모형 협동조합의 설립을 통해 실현된다. 쿡의 얘기를 시그모이드 곡선에 의해 해석하면 미국의 협동조합은 도입기, 성장기를 지나 변곡점이라 부르는 두 번째 갈림길에 서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협동조합들은 협동조합 생명주기의 어디 쯤 가고 있는 것일까? 특이점이라 말하는 첫 번째 위기는 대게 전체 수용자의 10%대를 가리킨다.

 

말하자면 협동조합 전체가 죽느냐 사느냐 하는 갈림길은 전체 법인 설립자의 10% 내외를 가리킬 때라야 비로소 의미가 있어진다. 중소기업청의 신설법인 통계를 보면 2014. 1~11월 우리나라의 신설법인 총 수는 76,808이며 동 기간 협동조합은 불과 2,747개에 불과하다. 이는 전체의 약 3.5%에 해당하는 숫자로 시그모이드 곡선에서 말하는 특이점에 이르기에는 한참 멀었다. 사람들이 협동조합을 많이 만드는 것 같아도 실상은 그렇지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협동조합이 한때의 유행이 아니라 성공한 개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단계다. 역사적으로는 한국의 협동조합은 실패한 개혁과 성공한 개혁을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