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일자리, 기계 인공지능 센서 칩이 인간의 일자리를 창조하는 것보다 더 많이 뺏어가. 하지만 2020년이후 의식주나 교육이 싸지면서 풍요의 미래가 온다
인데일리 2014.12.28(월) 박영숙《유엔미래보고서 2045》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일자리는 정말 얼마나 많이 사라질 것인가? 일자리 1개가 사라지면 2.3개의 일자리가 다시 생겨난다는 연구도 있었다. 2030년까지 20억개의 일자리가 소멸한다고 토마스 프레이 미래학자가 말했다. 그러나 또 수많은 새로운 기술이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든다고도 한다.
그중 가장 많은 일자리가 태어나는 곳은 유엔미래포럼회장 제롬 글렌 박사가 말하듯이 인터넷 속에서 이다. 피터 디아만디스 x프라이즈재단이사장은 현재 20억명이 인터넷에 접속하는데 2020년가지 70억명이 접속하게된다고 한다. 그 이유는 구글 페이스북이 깔고있는 무료와이파이 때문이다. 갑자기 50억명의 내 고객이 늘어나는 인터넷, 그 곳에서 수없이 많은 1인기업, 일자리들이 생긴다.
레이 커즈와일 구글기술이사는 100년전에는 인류의 1/3만 일을 하다가 현재는 2/3이 일을 하고 있으므로 일자리는 무궁무진하게 늘었고, 앞으로도 늘 것이라고 말했다.1900년도에는 노동을 하거나 농민들이 대부분이었다가 이제 농민인구는 2%로 줄고, 제조업도 2%로 줄었다.
레이 커즈와일은 자신은 5세때 이미 은퇴하여 발명을 시작했다고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부모 차고에서 무엇인가를 만들면 그것이 일거리이고 이런 일들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아진다고 한다. 사람들이 많이 요구하면 그렇게 되는 것이 사람들은 25년전에는 도저히 존재하지 않았던 일들을 지금 하고있다. 지구촌 인구의 2/3이 지식창조의 일을 하고 있다. 이제 모든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무료 지식을 꺼내와서 그 지식을 가지고 무엇인가를 덧붙이고 더 창조적인 일을 한다.
<중략>
10년후 인간은 수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바이오 생명공학, 합성생물학 등에서 찾게될 것이다. 인간은 육체적인 환경을 진화시키고 개발할 것이다. 1800년대에는 아직도 발명되지 않았던 일자리들이 지금 나와있듯이 수많은 일들이 나올 것이다.
현재 200억개의 웹사이트가 존재한다. 그들에게 그것은 일자리가 되었다. 앞으로 읽는 기계들이 더 많은 글을 읽고 분석하여 인간에게 전달할 것이어서 인간은 점점더 똑똑해진다. 피터 디아만디스가 말했듯이 풍유의 시대가 온다. 2020년에는 3D프린터가 나와서 모든 디자인이나 소프트웨어가 오픈소스로, 누구나 다 무엇이든 프린트할 것이다.
6년전에는 지금의 소셜미디어SNS는 존재하지 않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SNS에서 자신의 글, 사진들을 올린다. 이 사람들도 이 일이 일거리가 되었다. 이 일을 일자리로 만든 사람들도 많다. 이처럼 새로운 일자리, 일거리들은 인간은 끊임없이 만든다.
음식도 프린트하고 옷도 프린트하고 집도 프린트하여 의식주가 거의 무료가 된다. 100년전의 사람들은 먹기만 하면 행복했다. 즉 농사를 지어서 먹을 식량만 구하면 행복해했다. 그러나 요즈음 사람들은 먹는 것만 있다고 행복해 하지 않는다.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며 그만큼 세상은 풍요로워지고 있다.
의식주만 거의 무료가 되는 것이 아니다. 교육비도 싸지는데 MOOC 등 무료 강좌들이 무궁무진하게 나오고 있다. 교육은 이제 스스로 인터넷에 들어가서 지식을 가지고 오면 된다.
의식주, 교육 등이 거의 무료가 되면 이제 work 일 이라는 단어가 재정의되어야 한다. 일을 해서 월급으로 먹고사는 일이 큰 일이었다면 이제 사회나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가 의식주나 교육을 무료로 제공해준다면 우리가 일을 할 필요가 없다. 결국 최대의 정부정책은"100% 실직(unemployment)"이 와야한다고 예측한다.
이제 인간은 무엇인가도 재정의 되어야한다. 인간이 의식주, 교육이 해결되면 인간 삶의 목표가 무엇이 되어야하는지, 그리고 일을 할 필요가 없지만 일자리가 아닌 일거리를 찾게되는 인간의 삶의 목표를 재정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는 신체 사용보다 뇌 사용이 훨씬 더 늘어난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구직자에게 도움되는 정보 총모음 (0) | 2014.12.30 |
---|---|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로 50代만 창업 '급증'…식당·미용원·커피숍 선호 (0) | 2014.12.30 |
가계부채 1천조 시대, 미국의 금리인상 눈앞에 둔 지금 한국경제의 ‘화약고’ (0) | 2014.12.28 |
매경MBA, 올해의 10대 키워드 (0) | 2014.12.28 |
인문계 대학 재학생들, 프로그래밍(코딩)이나 3D프린터 기술 '열공' (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