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죽지세 IT차이나…추월 당한 IT코리아]
"우리도 알리바바 처럼"…美·日 유학파들 창업 경쟁
한국경제 2014.09.30(화) 김보영 기자
<중략>
<중략>
중국 IT의 저력이 무서운 이유는 단지 화웨이 샤오미 텐센트 알리바바 등 현재 시장에서 눈길을 끄는 대형 플레이어 때문만은 아니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처럼 차세대 신데렐라를 꿈꾸는 IT ‘젊은 피’들도 속속 중국으로 몰려들고 있다. 이들이 모여든 중국 베이징과 선전 등이 새로운 글로벌 벤처 성지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이유다.
중국 정부는 스타트업 생태계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중국 창업 시장에 불을 붙인 요인이다. 텐센트 샤오미 등 주요 IT 기업도 벤처 투자와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애플의 생산 협력업체인 폭스콘이 대표적. 베이징에 하드웨어 창업지원센터인 ‘이노콘’을 만들고, 하드웨어 벤처기업의 초기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데 공을 들이고 있다.
중국 스타트업 생태계에 신선한 피가 돌면서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털도 중국으로 몰리는 추세다. 알리바바의 마윈은 창업 초기 투자를 받기 위해 실리콘밸리를 찾았다가 수십여곳의 벤처캐피털로부터 냉대를 받았지만 이젠 옛말이다. 지난 1분기에 실리콘밸리 회사들은 2조9800만달러를 중국에 투자했다. 전년 동기(2조2800만달러)에 비해서는 30% 이상 늘어난 규모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프리터族의 비극] 최저임금 OECD '꼴찌'수준..생계보장도 안돼 (0) | 2014.10.02 |
---|---|
[한국형 프리터族의 비극] 노인 일자리의 대표주자 '경비원' (0) | 2014.10.02 |
[스크랩] 창업부터 업종전환까지, 단계별로 자영업자를 지원합니다! (0) | 2014.10.01 |
[알바 공화국] 한국형 프리터족의 비극 (0) | 2014.09.30 |
[新 차이나 쇼크] 한국, `굴뚝산업`과 '미래산업' 모두 휘청 (0) | 2014.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