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부상하는 핀테크의 세계④] 핀테크 바람, 국내 금융 입지는?
머니투데이 2014.09.28(일) 조신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원장
애플페이·카카오 파장 주목…결제 핀테크는 파괴적 혁신 못돼, IT기업 금융 기능은 한계
지난 9월 9일(현지시간) 애플이 신제품을 발표한 이후 세간의 관심은 아이폰6에 집중되었으나 정보통신(IT) 및 금융 전문가들은 새로운 결제 시스템인 애플페이가 몰고 올 파장에 더 주목하고 있다. 마침 다음카카오가 9월 5일 출시한 카카오페이도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거기에 '천송이 코트' 이후 알리페이가 롯데면세점에서도 쓰이게 되었다는 등 중국계 결제 서비스의 발 빠른 움직임도 화제의 대상이다. 또 미국에서는 벤모(Venmo) 같은 현금 송금 서비스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더치페이 수단으로 활발하게 쓰이기 시작했다.
결제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이런 변화는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그리고 이 시장에서는 누가 주도권을 차지하게 될까?
결제 서비스는 흔히 온라인(PC 및 모바일) 상거래에서의 결제, 오프라인 상점에서의 결제, 개인 간 소액 송금 서비스를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IT 기업들이 이 영역에 관심을 보인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미국에서는 페이팔이 2000년부터 온라인 상거래의 결제 수단으로 쓰였고,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업자들도 10여 년 전에 모바일 신용카드와 전자화폐를 출시했으나 활성화되지 못했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결제 애플리케이션(앱)이 탑재되고, 근거리무선통신(NFC)이나 QR코드 등 스마트폰과 오프라인 결제용 단말기 간 통신 기능이 보편화되면서 결제 시스템이 우후죽순처럼 등장했다. 이에 따라 모바일 상거래용 결제가 크게 활성화되고 일부 국가에서는 전자화폐를 통한 개인 간 송금이 늘고 있지만 오프라인 상거래는 여전히 플라스틱 신용카드나 현금이 지배하고 있다.
그런데 애플이 NFC 통신과 지문 인식만으로 간단히 결제를 완결함으로써 플라스틱 카드를 대체하겠다고 나섰다. 애플이 워낙 혁신 기업이다 보니 이번에도 게임체인저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고, 이제는 시장이 본격 개화할 단계가 됐다는 판단도 뒤따르는 듯하다. 특히 애플이 미국의 주요 신용카드사 및 22만 개 판매점을 일거에 끌어들임으로써 생태계를 조성했고, 지문인식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선한 것이 밝은 전망을 내놓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노키아가 10년간 스마트폰 사업을 키워 왔지만 생태계 미비로 고전한 반면에 애플은 어느 정도 여건이 조성된 후 앱스토어와 획기적인 UI로 무장한 아이폰 출시로 '후발자의 이득'을 누린 것을 연상케 한다.
단말기 보급, 통신수단 통일 등 과제
그럼 새로운 결제 서비스는 우리 생활을 전격 바꿀 것인가?
<중략>
과도한 금융 규제가 새 서비스 막아
<중략>
새로운 결제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들은 누가 될 것인가?
<중략>
타 산업과의 융합이란 관점에서 IT가 미치는 영향과 역할 평가에는 두 가지 기준이 있다.
첫 번째는 IT가 해당 산업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거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인지, 품질이 떨어지지만 가격이나 편의성 등에서 기존의 제품을 대체하는 데 기여하는지 여부다. 경영학자인 클레이턴 크리스텐슨(Clayton M. Christensen)의 설명에 따르면, 전자는 존속형 혁신(sustaining innovation), 후자는 파괴형 혁신(disruptive innovation)에 각각 해당된다.
존속형 혁신의 영역은 기존의 기업이 원래 잘해 오던 분야이고, 또 기존의 우량 고객을 지키기 위해 기꺼이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들은 필요한 IT기술을 받아들여서 자신의 역량으로 내재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비해 파괴형 혁신의 경우에는 새로운 기업이 품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값싼 제품을 출시하여 기존의 기업이 방치해 놓은 로엔드 고객이나 새로운 시장을 유효하게 공략하여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는 IT가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한 것이다. 즉 IT가 해당 산업의 본질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유통채널, 생산방식 등 일부 영역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만약 IT가 해당 산업의 핵심 역량에 영향을 준다면 IT 활용을 잘하는 기업이 기존 기업들의 경쟁력을 압도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에 비해 IT가 핵심 역량을 돕는 보조 수단에 그친다면 IT기업의 역할은 기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그 대가를 받는 데 머물게 된다.
이런 두 가지 기준으로 IT와 금융의 융합 사례를 보면 IT기술의 활용은 금융 거래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오프라인 점포 활용을 축소하는 등 효율 향상에 기여하는 존속형 혁신의 전형이 된다. 이런 점에서 현재 IT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 결제 서비스의 변화를 카드사들이 못 따라할 이유가 없다.
결제 플랫폼 장악이 금융은 아니다
<중략>
결론을 말한다면 우리의 온·오프라인 쇼핑 및 결제는 몇 년 후에 완전히 바뀌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동인은 IT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결제 서비스의 주인공은 여전히 금융기업이고 IT기업은 결제의 일정 부분을 수행하면서 수수료를 받는 보조 역할을 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구매 '단말기 유통법 이전'은 잊어라.. 10월1일부터 지각변동 (0) | 2014.09.29 |
---|---|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 뛰어든 국내 IT서비스기업, 모두 철수 (0) | 2014.09.29 |
[급부상하는 핀테크의 세계] 핀테크 스타트업, 금융 서비스 재창조한다 (0) | 2014.09.29 |
[급부상하는 핀테크의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 글로벌 합종연횡 가속 (0) | 2014.09.29 |
[스크랩] Active-x 문제 해결 등 전자상거래 결제가 간편해집니다! (0) | 201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