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문 2014.07.25(금)
글로벌 토론회서 발전안 논의
25일 벡스코에서 열린 '사회적 경제 박람회'를 찾은 초청 인사들이 박람회장을 둘러보고 있다. 박수현 기자 parksh@kookje.co.kr
-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
- 사회적 거래소 설립 등 제기
- "정부 개입 심해…자율 중요"
- 해외 전문가들 의견 제시
시민의 사회적기업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 정부의 재정 위주 지원 사업에 따른 사회적기업의 자립성 약화 등이 부산 지역 사회적기업의 한계로 지적됐다. 부산 사회적기업센터 임경수 센터장은 25일 벡스코에서 부산시와 사회적기업연구원 공동주최로 열린 '사회적기업으로 만드는 따뜻한 창조경제' 주제의 '사회적기업 글로벌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임 센터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지역 대학과 공공기관, 상공계 등이 함께 출자하고 의논해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하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또 사회적거래소를 설립해 사회적기업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보해야 이들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는 부산 지역 사회적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였다. 토론회에서 해외 선진국의 사회적기업 운영 사례 발표와 함께 부산 사회적기업의 한계와 발전 방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토론회에는 영국 일본 미국 등 사회적기업이 이미 자리를 잡은 선도 국가의 사회적기업 전문가들도 참여했다. 영국 사회적 기업가 지원 재단인 '언리미티드' 클리포드 프리어 대표이사는 사회적 경제의 활성화 방안을 영국의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아키바 다케시 교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기업이 형성된 일본의 '소셜 비즈니스'에 관해 소개했다. 프랑스 르망대학 에릭 비데 교수는 프랑스에서 진행 중인 '사회적 경제법 발의'에 대해 의견을 제시했다.
토론에 참가한 프랑스 르망대학 에릭 비데 교수는 "한국의 경우 최근 감시에 가까울 정도로 사회적기업에 정부의 강력한 개입이 이뤄지고 있다"며 "시민사회가 사회적 경제 영역에 자율적으로 참여할 있도록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사회적기업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도 사회적기업육성법에 근거해 2007년 전국 55개의 사회적기업이 인증을 받은 후 현재 1124개의 기업이 사회적기업으로 인증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 부산은 현재 72곳이 사회적기업으로 인증받아 활동 중이다. 이는 서울과 경기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이를 통해 부산에만 모두 4959개의 신규 일자리가 제공됐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조합기본법에 의한 협동조합 5000개 시대…新성공모델이냐 부실단체냐 (0) | 2014.07.30 |
---|---|
자크 드푸리니 교수 "사회적경제 기업 자생력 갖출 때까지 인내심 필요" (0) | 2014.07.28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이어 차관까지 ‘교체’ 창조경제 ‘급변화’ (0) | 2014.07.26 |
정부, SW중심사회 실현으로 창조경제 활성화 (0) | 2014.07.23 |
[스크랩] 창조경제의 혈액,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바꾼다!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전략 발표 (0) | 201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