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온·오프라인 신개념 결제, 카카오톡으로 조의금 보내는 시대

배셰태 2014. 6. 23. 11:30

카톡으로 조의금 보내는 시대

머니위크 2014.06.23(월)

 

서울에 사는 나영석씨는 고향(전남 여수)에 사는 친구에게 '뱅크월렛 카카오'(Bank Wallet Kakao)를 통해 조의금 10만원을 보냈다. 인터넷뱅킹을 이용하면 컴퓨터 혹은 모바일 공인인증서 로그인과 보안카드번호 입력 등 송금절차가 번거로운데 반해 뱅크월렛은 모바일 앱에서 비밀번호만 누르면 송금이 가능하다. 상대적으로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올해 말까지 수수료가 면제됨에 따라 이용부담도 덜었다. 여기에 자동화기기(CD·ATM)에서 현금인출도 가능해 편리성을 더했다.

 

카카오톡 이용자끼리 하루 최대 10만원까지 송금할 수 있는 뱅크월렛이 이르면 오는 7월 정식 오픈할 예정인 가운데 이를 가상으로 그려본 사례다.

 

금융결제원은 올 3분기 안에 오픈할 것이라고 했지만 금융업계는 오픈시기를 7월 중하순쯤으로 보고 있다. 당초에는 6월 중 오픈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일각에서 보안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자 출시시기를 한달가량 늦췄다. 이는 금융감독당국의 영향이 컸다.

 

금융권 관계자는 "각 은행들은 6월 중·하순에 맞춰 뱅크월렛서비스를 오픈하려고 했는데 감독당국이 서비스 보안을 좀 더 세심하게 검토하라고 지시했다"면서 "이런 내용을 금융결제원이 각 은행권에 통보하면서 서비스 시행시기가 미뤄졌다"고 설명했다.

 

뱅크월렛이 관심을 끈 것은 시중은행들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직접 참여했기 때문이다. 은행들이 그동안 은행 고유권한인 입출금서비스를 모바일메신저에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은행이 모바일메신저서비스에 진출한 것은 카카오와 시중은행 모두에 적잖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뱅크월렛이 출시될 경우 카카오톡의 범용성에 비춰 가입자수가 늘어나고 차후에 은행 송금뿐만 아니라 대출상품까지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제가 완화된다면 적잖은 수익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