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2014.06.10(화)
'고령친화 공동체' 설립이 새로운 고령화 대책으로 주목 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 부산 지역 미래에 있어 급격한 인구 고령화는 재앙으로까지 인식되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처럼 암울한 앞날이 보이는데도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데 있다.
부산의 고령화 대응력은 산업연구원의 최근 조사 결과 전국 16개 시·도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 게다가 부산은 노인 인구 비율이 14%에 가까워 전국 7대 도시 중 가장 높다. 2002년부터 이미 '고령화 사회(노인 인구 7% 이상)'에 접어들었고, 사실상 '고령 사회(노인 인구 14% 이상)'라 할 수 있다. 이렇게 고령화 비율은 최고이고, 대응책은 전국 꼴찌이니 부산의 잿빛 장래에 대한 걱정이 높아져 갈 수밖에 없다.
사고의 일대 전환이 없으면 지금과 같은 진퇴양난의 상황을 도저히 타개할 수 없다. '고령친화 공동체' 설립이 이런 점에서 신선한 대안으로 각광 받고 있는 것이다. 이 방안은 노인을 돌봄의 대상으로만 보는 단편적 시각을 벗어났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노인과 젊은이가 상호협조할 수 있는 선순환적 구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현재 설립된 부산 영도구 동삼동의 '동삼 LH 1단지 좋은마을'과 해운대구 반송동의 '반송 LH 좋은마을'은 그 전범이 되고 있다. 이 모델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앞으로 사회 전체의 경제 활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재력을 지닌 베이비 붐 세대가 노인이 돼 고령층에 대거 진입하더라도, 청년층과 공동체를 통해 활발하게 소통해 신구 세대가 새로운 생산자, 소비자로 탄생할 수 있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노인들을 이제 부양대상자로만 보는 관점에서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그들이 사회의 주체로 거듭날 때 고령화 사회가 재앙이 아니라 축복이 될 수도 있다. '고령친화 공동체'가 유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시 관계자도 고령화 도시를 부산의 최대 장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역발상을 해야 한다. 위기가 곧 기회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극화, 문제는 분배다] 월 소득 139만원 미만 1000만명 육박 (0) | 2014.06.13 |
---|---|
노인과 더불어 사는 공동체로! (0) | 2014.06.11 |
미래교육 시스템의 대변혁 (0) | 2014.06.10 |
즉시 라이프스타일, 즉시 학습, 즉시 결정의 시대가 온다 (0) | 2014.06.10 |
도시 가구 상대적 빈곤율 20년새 8.2%→14.5% (0) | 201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