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삼성이 망하는 걸 두려워하지 마라-정지훈 교수•의사•프로그래머•미래학자

배셰태 2014. 4. 10. 14:17
삼성이 망하는 걸 두려워하지 마라
한국일보 2014.04.09(수)
[인터뷰] 미래학자 정지훈 교수 / 스포츠한국|비즈한국 구경모 기자

"삼성이 망하는 걸 두려워해선 안 됩니다. 삼성이 망한다고 해도 우리나라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핀란드를 보십시오. 노키아가 무너졌지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어요. 오히려 우수한 회사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죠. 지금의 세계 경제 불황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는 겁니다. 이제까지는 기업 경영에 있어 고정 비용과 평균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했지만 앞으로는 혁신 비용을 줄이는 것이 관건입니다. 그러기 위해선 조직을 작게 쪼개야 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정부와 언론이 앞장서서 대기업 위주의 경제 구조를 당연시 여기고 있습니다. '삼성이 망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환상을 깨고 변화를 두려워해선 안 됩니다"

 

<중략>

 

의사이자 프로그래머, 그리고 미래학자로 활동하고 있는 경희사이버대 모바일융합학과 정지훈 교수의 말은 단호했다.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모바일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우리 기업의 생존 전략을 듣고자 했던 것인데 그는 보다 큰 변화를 이야기했다.

 

"미래는 예측 아닌 실천하는 것"

 

지난 2일 대치동의 한 카페에서 정지훈 교수를 만났다. 그는 간편한 셔츠차림에 밝은 표정이었다. 첫 질문으로 마이크로 미래학에 대해 물었다.

"미래 예측은 불가능하다. 나 같은 학자들은 지금의 기술을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짠다. 만화영화 '코난'에 나오는 어둡고 무거운 '인더스트리아'(산업사회)가 아닌 밝고 희망적인 '하이아바라'(소규모 공동체 사회)를 그리려는 것"이라며 "이런 밝은 미래상을 사람들에게 제시하고 강연을 통해 설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의 공감을 얻고 함께 노력한다면 밝은 미래는 현실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역시 예전처럼 계량화된 데이터에 의존하는 단순한 시장 예측은 불가능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들이 살아남으려면 내부 역량과 외부 역량을 연결시켜 자연스런 혁신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면서 "그러기 위해선 조직을 유연한 아메바형으로 만들어 동태적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조직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혁신 비용을 줄여라

 

<중략>

 

회사 아닌 가치의 영속성이 중요

 

<중략>

 

"회사의 본질은 돈 버는 게 아니다"

 

"회사의 본질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그렇게 배웠을 뿐"이라며 "회사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어떤 브랜드 가치가 가지는 상징 아래에 여러 사람들이 모인 것이다. 따라서 회사의 본질은 소셜(Social)적인 것이고, 사회에 헌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돈을 버는 게 회사의 목적이라면 그런 회사는 오래 갈 수 없다. 브랜드 가치란 남이 평가해 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회사의 브랜드 가치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의미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좋은 브랜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해야만 하고 그래야 회사도 살아남을 수 있다"고 단언했다.

 

"삼성은 이 점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블루핵'이나 'C랩' 등의 개념을 도입해 소규모 분산조직 시스템을 실험하고 있다"며 "블루핵은 디자이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 3~5명이 1박2일 동안 쉬지 않고 아이디어를 내고 시제품까지 완성하는 사내 이벤트를 말한다. C랩은 직원들이 스스로 제안한 과제에 대해 회사가 지원하고 본인이 원하는 장소 원하는 기간에 과제를 완성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성공적으로 안착되긴 힘들 거라고 봤다.

 

메인 사업 버리고 생존 선택한 IBM

 

<중략>

 

우리나라, 이미 선진국 진입

 

그는 "언론에선 '소득 3만 달러를 달성하지 못했으니 우린 아직 선진국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재벌 총수들의 부정에 대해 용서하자는 취지의 논조를 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내가 봤을 땐 우리나라는 이미 선진국이다. 왜냐하면 성숙하고 강력한 시민사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일본의 역사 왜곡의 특징은 모두 국가가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거짓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것은 국가를 견제할 수 있는 시민 사회가 형성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또 "우리나라에선 이런 정책들이 추진될 수 없다. 시민사회가 들고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시민사회란 관점에서 놓고 보면 우린 이미 선진국"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젠 중앙집권적 국가의 기능을 분산된 소규모 공동체들이 대신할 것이다. 이들 소규모 공동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것은 기업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 살아남고 싶다면 작게 쪼개야 한다. 분산된 자본, 분산된 자원, 분산된 의사결정 구조를 가진 조직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사회를 위해 헌신할 수 있는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