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초연결사회·창조경제]⑤세계는 자유무역∙왕래, 비트로 연결된 하나의 디지털 세상

배셰태 2014. 3. 16. 08:51

디지털문명기 초연결사회, 창조경제 논의 ☜ 클릭

아이티데일리 2013.11.05 (화) 금용찬 지엔씨솔루션 대표이사

 

프롤로그

==============================

1. Prologue
2.사회구조 - “초연결의 하나되는 세계” 지배∙영리∙수혜의 역할분담
3.산업구조 – 연결과 확장에 의한 MATRIX화, 그리고 창의산업과 서비스
4.지배구조 - 국가체제는 P2P협치로 진화, 사회는 글로벌 디지털 공동체화
5.세계구조 - 세계는 자유무역∙왕래, 비트(bit)로 연결된 하나의 디지털 세상
6.디지털인류 - 디지털 신인류 출현, 온오프라인 융합 공동체의 가치, 지속 Korean?
7.디지털문화 – “세계가 하나로”의 과제와 “창조적(Creative)” 금단의 사과
8.과학기술 – 창조경제 디지털경제의 일환, 과학기술의 융합과 디지털문명은 동전의 양면
9.실세상 – 수혜,영리,지배구조의 주체, 문명형과 문화형의 이원적 진화
10.사이버세상 - 디지털 문화가 꽃피는 사이버 세상 “사이버대륙”의 생성
11.디지털문명 -과학기술의 발달과 융∙복합 변화로 “디지털문명기” 도래
12.변화의 이해와 대응

============================================

[경영칼럼(5)] 디지털문명기 초연결사회, 창조경제 논의 ☜ 클릭

아이티데일리 2014.03.03 (월)

 

세계는 자유무역∙왕래, 비트(bit)로 연결된 하나의 디지털 세상


디지털문명의 세계구조는 하나로 연결된 디지털 세상이다. 연결된 디지털 세상은 적자생존의 야생 환경으로 국가는 글로벌 지속가능성을 위한 총체적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개개인은 어딘가에 소속되어 사냥을 하고(수익 창출)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가야 한다.

 
< 10가지 창조경제 논의의 틀 : 세계구조 >

 

 

 

미래사회의 주요한 변화 중 하나는 세계구조의 글로벌 일체화이다. 국가 단위를 넘어서 APEC, NAFTA, EU, ASEAN 등의 세방화(Glocalization)와 UR(우루과이라운드), KTP(쿄토의정서), FTA(자유무역협정) 등 국제협약에 의한 교역과 왕래의 과도기를 거쳐 자유무역과 자유왕래가 이루어지며 하나의 디지털 세계로 연결되고 국경 없는 무한경쟁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세방화 (Glocalization)

 

세방화(Glocalization)는 세계화와 지역화의 합성어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성을, 판매되는 각 지역의 지역성과 문화에 적용하기 위한 비즈니스용어로 일본의 경제학자에 의하여 1980년 후반에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세계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을 말하며 세계무역기구의 출범으로 국경 없는 경제전쟁이 심화되고 EC, NAFTA, TPP 등 경제블록의 형성으로 각 지역이 경제활동의 중심지가 되는 추세에 따라 세방화(Glocalization)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세방화는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세계화를 추진하되 현지의 풍토와 문화를 고려하는 경영전략으로도 사용된다.

 
< 세방화에 의한 세계구도 > 

 

<중략>

 

통합된 세상에서의 마음가짐(Mindset)
 
< 디지털문명인 Mindset >

개인은 디지털 문명인의 역량을 갖추고 대응해 나가야 한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