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공유경제의 국내 현황과 향후 전망-김점산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

배셰태 2014. 2. 28. 10:25
[단독] “카셰어링 경제효과 年 4조8860억원”

 세계일보 2014.02.28(금)

 

경기개발硏, 수도권 파급력 분석
“공유경제 활성화 정부 지원 필요”

 

대표적 공유경제 중 하나로 꼽히는 ‘카셰어링(자동차 함께타기)’이 수도권에서 활성화하면 연간 지역경제 흡수효과가 4조886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김점산 연구위원은 ‘공유경제의 미래와 성공조건’ 에서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공유경제의 국내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분석결과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중략>

 

김 위원에 따르면 세계 공유경제 규모는 2013년 기준으로 51억달러 수준으로 북미(60%)와 유럽(35%)을 중심으로 매년 80% 이상의 폭발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중략>

 

김 위원은 “우리나라는 ‘품앗이’와 같은 협력문화 및 높은 교육수준과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정보통신(IT)기술과 유·무선 인터넷망을 가지고 있다”며 “정부가 이러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과 공유기업 인증 및 투자, 기업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신뢰회복에 나설 경우 우리의 공유경제도 사회의 한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