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사람들은 문제를 보고 회피합니다. 소수는 문제를 기회와 은혜로 보고 환영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러이러한 문제 때문에 어렵다고 말합니다. 몇몇 사람들은 이런 문제가 있어 재미있고 더 도전해보고 싶다고 말합니다. 대부분은 문제 때문에 좌절하지만, 극소수는 그 문제를 활용해 자신을 단련시키고 남과 다른 차별적 우위를 만들어갑니다. 그 소수의 사람들이 승리자입니다.
장애물을 만나면 이렇게 생각하세요. `내가 너무 일찍 포기하는 것이 아닌가?` 실패한 사람들이 현명하게 포기할 때 성공한 사람들은 미련하게 참습니다. 마크 피셔의 조언입니다. 인간은 장애물을 만날 때, 그리고 도전할 때마다 강해집니다.
2000년 전 맹자의 이야기입니다. "하늘이 장차 그 사람에게 큰 사명을 주려할 때는 반드시 먼저 그의 마음과 뜻을 흔들어 고통스럽게 하고, 그 힘즐과 뼈를 굶주리게 하여 궁핍하게 만들어 그가 하고자 하는 일을 흔들고 어지럽게 하나니, 그것은 타고난 작고 못난 성을 인내로써 담금질하여 하늘의 사명을 능히 감당할 만하도록 그 기국과 역량을 키워주기 위함이다."
궁즉통(窮卽通)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면 반드시 해결책을 찿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직을 책임지는 휼륭한 리더도, 일반의 기대를 넘어서는 탁월한 상상력도 `곤궁`과 `고난`이라는 학교에서 생성됩니다.
살다보면 좋은 때도 있고, 힘들 때도 있습니다. 우리는 늘 좋을 때만 기다리지만, 좋은 때가 지속되는 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태풍은 바닷물이 썩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매일 맑은 날만 계속된다면 세상은 사막이 되고 맙니다.
숲에서 가장 강한 나무는 폭풍우와 맞서고 다른 나무들과 싸우는 등 온갖 시련을 이겨낸 후에야 만들어집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고난의 시기가 영웅을 만듭니다. 영웅이 되는 첫길은 고난을 기회로 해석하는데서 출발합니다. 위대한 인간이란 역경을 극복할 줄 아는 동시에 그 역경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위대한 업적을 이룬 사람들은 예외 없이 모두 주어진 문제를 성장의 양식으로 삼아왔습니다. 그들은 문제를 꿈이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으로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극복해왔습니다. 인간은 문제를 받아들이고 해결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성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고난은 극복하기 위해 있습니다. 휼륭한 선원은 거친 파도가 만듭니다.
오늘 날과 같은 변화와 혁신의 시대에는 실패율을 높이는 것, 즉 보다 많은 실패를 보다 빠르게 하는 것이 결국 성공확률을 높이는 것입니다. 실패를 고효율의 과실로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시는 그런 일을 안 하겠다` 는 다짐이 아니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 는 다짐과 실패로부터 얻는 정확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유독 실수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서양 간에 인식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도 실수에 대한 관용, 실수를 통한 학습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하겠습니다. 그럴 때만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 과감하게 도전하는 문화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배움이란 실수를 저지르고 그것을 터득하는 것입니다. 몇 가지 잘못을 범하지 않는다면, 분명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거나 크게 성취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애당초 시도하지 않는 것이 진짜 실패요, 시도도 하지 않는 사람들이 진짜 실패자입니다.
누구도 실수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누구나 때때로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실수를 바로 실패로 연결시켜 생각합니다. 발명 과정에서 여러 번 실패를 하지 않고 단번에 성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나 비결은 없습니다. 실수는 개발의 필수 요소인 것입니다. 실수에서 제대로 배운다면, 실수는 발전을 위한 원동력이 됩니다.
프랑스 계몽사상가 장 자크 루소는 "군중이 가는 길은 늘 틀리며, 성공의 길은 늘 대중이 가는 반대쪽 길"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언론에서 한쪽 목소리만 흘러나올 때는 시장의 방향이 큰 변곡점을 앞두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올바른 판단을 위해서는 군중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방울로 바위에 구멍을 내는 정도의 일을 해야 비로소 감동이 있고 가치가 있습니다. 어려운 일이 닥치면 그것은 불가능해라고 지레 겁먹고 발을 빼는 대신, 이제 비로소 해볼만한 일을 만났다 생각하면서 도전한다면 이 세상에 불가능은 없을 겁니다.
여기가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상다반사 > 자기계발·동기부여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의 크기만큼 고통도 따른다 (0) | 2014.01.23 |
---|---|
진화된 미래 삶의 모습은 `자기 몰입`과 `이타적 헌신`이다 (0) | 2014.01.19 |
우리는 인생의 역경을 이겨낼 잠재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0) | 2014.01.11 |
미래는 미래를 준비하는 자들의 것이 된다 (0) | 2014.01.10 |
성공과 행복을 꿈꾼다면 긍정적 사고방식의 힘을 길러라 (0) | 201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