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세계미래학회 티머시 맥 회장 “한국의 창조경제 비전·전략, 전 세계 영향 미칠 것...
국민일보 2013.11.25(월)
<중략>
‘창조경제’와 ‘정보통신기술(ICT)’이 시대의 화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둘은 내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에 앞서 25∼26일 서울에서 열리는 ‘ITU 전권회의 준비 글로벌 포럼’의 주제이기도 하다. 25일 잠실동 롯데호텔월드에서 기조연설을 맡은 티머시 맥(67) 세계미래학회 회장을 만났다.
맥 회장은 국민일보와의 단독인터뷰에서 “창조경제는 한국 경제를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ICT는 창조경제의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ICT 수준도 세계 최고라고 평가했다. <중략>
맥 회장은 국민일보와의 단독인터뷰에서 “창조경제는 한국 경제를 지금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ICT는 창조경제의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창조경제는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전제했다. 이어 “한 예로 박근혜 대통령이 생각하는 창조경제는 중소기업들이 기업가정신을 갖고 한국 경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라며 “한국은 모험을 회피하는 분위기가 있기 때문에 청년층이 창업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려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맥 회장은 “ICT는 창업에 나서거나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비용을 줄여줄 수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균등한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기조연설에서 “한국이 전 세계 개발도상국의 경제 모델이 되고 있다”면서 “한국의 창조경제 비전과 전략은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ICT 수준도 세계 최고라고 평가했다. <중략>
맥 회장은 ICT를 통해 창조경제를 활성화시키려면 기술 개발도 중요하지만 창조와 혁신이 얼마나 중요한지 대중에게 알리는 일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중략>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한국이 어떤 분야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지 묻자 주저 없이 “빅데이터”라고 답했다.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좌우된다는 의미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작지만 탄탄한 일터, 협동조합"…여성 일자리로 각광 (0) | 2013.11.26 |
---|---|
창조경제 공식도 E=MC²-김흥남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0) | 2013.11.26 |
'제1차 협동조합 기본계획(2014∼2016년)' 다음 달 최종 확정 (0) | 2013.11.25 |
정부·지방자치단체, 협동조합 판로확대 지원한다 (0) | 2013.11.24 |
[문화체육관광부] 창조경제 시대, 저작권 선순환 생태계 모색 (0) | 2013.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