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2013.10.17(목)
'롱테일 경제학' 크리스 앤더슨 3D로보틱스 CEO
다품종·비주류 상품, 시장 점유율 높아져
폐쇄적 방식 집착 땐 삼성도 소니도 위기올 것
“삼성이나 소니 같은 대기업들 역시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혁신)’을 한다면 더 많은 기회를 누리겠지만, 기존의 폐쇄적 사업방식을 고수한다면 어려워질 수 있다.”
‘롱테일(Long Tail) 경제학’ 주창자인 크리스 앤더슨 3D로보틱스 최고경영자(CEO·사진)는 1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사람이 집에서 제조업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롱테일 경제학은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소수의 히트상품 영향력은 줄어드는 대신 다품종 소량 생산된 비주류, 틈새 상품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패러다임을 말한다. 앤더슨 CEO는 이날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삼성메모리솔루션포럼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을 찾았다.
앤더슨 CEO는 최근 책 ‘메이커스(makers)’에서 “소비자들이 인터넷 지식을 활용해 직접 제품을 설계하고 3차원(3D) 프린터로 시제품을 만든 뒤 중국이나 인도의 수많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방식 업체에 생산을 맡기는 개인제조업을 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판매는 이베이 등을 통하면 글로벌 시장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인터넷으로 누구나 쇼핑몰을 할 수 있게 된 것과 비슷한 변화가 제조업에서도 일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앤더슨 CEO는 따라서 “기존의 대기업들도 살아남으려면 뛰어난 개인기업가들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협력해 제품을 혁신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략>
앤더슨 CEO는 2006년 ‘상위 20%가 매출 80%를 만든다’는 기존의 파레토법칙에 반하는 ‘80%의 하위가 상위 20%보다 큰 가치를 만든다’는 롱테일 법칙을 주장, 주목받아온 경영자다.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와 과학잡지 네이처 및 사이언스, IT미디어 와이어드의 편집장을 지냈다. 미 조지워싱턴대에서 물리학, UC버클리대에서 양자역학과 과학 저널리즘을 공부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考試' 목매는 대한민국 청년…이스라엘선 상상 못해 (0) | 2013.10.17 |
---|---|
3D프린터 이용한 셀프제조 시대 창의력 앞세운 1人기업 늘어날 것-크리스 앤더슨 (0) | 2013.10.17 |
국가부채(중앙정부+지방정부+국가공기업+지방공기업) 1,500조 원 추정 (0) | 2013.10.17 |
[실업률 통계 속 불편한 진실] 실업률 2퍼센트대, 체감은 20퍼센트 (0) | 2013.10.16 |
빅데이터와 디지털 큐레이션 '정보폭발 시대의 돌파구'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