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창조경제 인지도 및 동의 여부/경제민주화 속도 조절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배셰태 2013. 10. 7. 13:08
"국민 85% 경제민주화 지지…기업인 호감도는 급락"

연합뉴스 2013.10.07(월)

 

<중략>특히 경제민주화에 대해서는 필요없다는 의견은 14.8%에 불과하고 나머지 대부분은 어떤 식으로든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경제민주화 지지 입장중에서는 '경제 회복을 감안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48.2%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존 공약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과 더 강력한 경제민주화가 필요하다는 답이 각각 22.5%와 14.5%를 차지했다...이하 전략 

韓 '기업인 호감도' 급락…"경제민주화 속도조절 필요"
아시아경제 2013.10.07(월)

국민 절반 이상, 창조경제 내용 몰라

조선비즈 2013.10.07(월)

 

기업 및 기업가에 대한 국민 호감도가 지난해에 비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인 ‘창조경제’에 대해 국민 절반 이상은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19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연구원이 ‘우리나라 국민의 기업 및 경제 현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7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전반에 대한 호감도를 묻는 질문에 6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지난해 68%에 비해 5%p 감소한 것으로, 기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가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창조경제 인지도 및 동의 여부 조사 결과. /한경연 제공
창조경제 인지도 및 동의 여부 조사 결과. /한경연 제공

국내 반기업 정서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높다는 의견이 63%로 전년 조사(76%)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경연은 “2012년 조사 시점에서는 제19대 총선과 맞물려 반기업 정서가 10%p 이상 급등했으나, 선거철이 지나자 예전 수준인 60%대로 회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반기업 정서의 구체적 원인으로는 ‘탈법 및 편법 등 기업 내부 문제’라는 응답이 43%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조사(51%)보다는 감소했지만 기업 내부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부분임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한경연 측은 분석했다.

기업가(창업주)에 대해 좋게 생각하는 비율은 지난해 73%에서 51%로 20%p 이상 떨어졌고, 전문경영인 호감도 역시 77%에서 66%로 하락하는 등 기업인에 대한 전반적 호감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 현안 관련,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창조경제’(32%)와 ‘경제민주화’(31%)를 우선으로 꼽았다. 그러나 창조경제와 경제민주화 용어를 들어 알고 있다는 응답은 90%를 웃돌았지만, 내용은 잘 모른다는 응답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민주화의 경우, 지난해 총선 전에 이미 정치적 쟁점으로 부상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을 잘 모른다는 응답이 55%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경제민주화 내용을 안다는 사람 중에서는 ‘과도한 규제는 경제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므로 속도를 조절해야한다’는 주장에 절반 가까운 48%가 동의하는 한편, ‘공약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은 23%에 불과했다.

경제민주화 속도 조절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한경연 제공
경제민주화 속도 조절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 /한경연 제공

황인학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를 통해 창조경제와 경제민주화와 같은 정책 현안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가 부족한 점이 발견됐다”며 “반기업 정서와 정책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은 사회 갈등을 증폭시키고 국민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기업과 정부는 기업 전략과 정책 수립 과정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조사는 국민의 기업·기업인, 시장 제도와 정책 현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