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2013.09.05(목)
우리는 위기가 일상화된 시대, 비상시(非常時)가 오히려 일상적인 시대에 살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또 다른 위기의 가능성은 계속되고 있고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은 그 유효성을 잃어가고 있다. 21세기 들어 많은 나라들이 경제발전 패러다임이나 모델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중략>
이러한 정신과 의지를 경제 이론에 담아낸 대표적인 학자가 슘페터(Joseph A. Schumpeterㆍ1883∼1951)다. 슘페터에 따르면, 자본주의 경제는 기업가 정신이 충만한 기업가들이 끊임없는 혁신, 즉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를 수행함으로써 동력을 얻는다. 여기서 기업가 정신이란 바로 낡은 사고와 행동 패턴, 타성을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이나 상품, 새로운 생산방식 등을 창조하고자 하는 정신을 말한다. 이외에도 슘페터는 새로운 기술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오늘날 융합(convergence)이라고 표현되는 기존 자원의 새로운 결합(new combination)을 강조한다.
<중략>
창조경제를 위한 정부 역할의 핵심은 슘페터의 젊은 기업가들이 더욱 많이 육성돼 한국 경제를 리드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젊은이들이 창업을 1순위로 선택하고 기업하기 좋은 한국 경제가 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거래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20세기가 J.M.케인스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J.A.슘페터가 부활하는 시대이다. 슘페터라는 '거인의 어깨'위에서 우리는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데 어떤 조건들이 필요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민주화에 NGO와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 등의 역할이 중요하다 (0) | 2013.09.06 |
---|---|
인터넷 등 '공유재'가 주는 교훈 (0) | 2013.09.06 |
'보이지 않는 손'의 허상•••그래서 경제민주화가 필요하다. (0) | 2013.09.04 |
협동조합 성공은 금융부문 족쇄 풀어야-이기재 지역과세계연구소 소장 (0) | 2013.09.03 |
'나'만큼이나 '우리'가 중요해지는 사회의 '공유지'란 과연 무엇인가? (0) | 201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