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 전문매거진S] "스펙이 아닌 꿈과 끼를 검증하는 소셜 리크루팅"
2013.09.04, 필자 : 이선민 기자 / HR Insight 700 호
<중략>
소셜 리크루팅은 세계적 트렌드
소 셜 리크루팅의 가장 큰 장점은 구인자와 구직자가 수시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구인자 입장에서는 구직자의 정형화되거나 단편적인 정보 이상의 일상적이고 입체적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반면, 구직자는 스펙 이외의 자신의 개성, 창의성, 잠재력 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다.
미국의 리크루팅 소프트웨어업체 잡바이트는 2012년 기준 약 92%의 미국 기업이 이력서 대신 링크드인,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다고 밝히며, 채용 담당자들이 학력, 수상경력 등의 정형적 지원자 이력보다 개인의 일상 속 인성, 사회성, 각종 습관 등을 엿볼 수 있는 소셜 미디어를 채용 자료로 선호해가는 추세라 소개했다. 또 73%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성공적인 채용을 했다고 응답했다.
소 셜 리크루팅의 가장 큰 장점은 구인자와 구직자가 수시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구인자 입장에서는 구직자의 정형화되거나 단편적인 정보 이상의 일상적이고 입체적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반면, 구직자는 스펙 이외의 자신의 개성, 창의성, 잠재력 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다.
미국의 리크루팅 소프트웨어업체 잡바이트는 2012년 기준 약 92%의 미국 기업이 이력서 대신 링크드인,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다고 밝히며, 채용 담당자들이 학력, 수상경력 등의 정형적 지원자 이력보다 개인의 일상 속 인성, 사회성, 각종 습관 등을 엿볼 수 있는 소셜 미디어를 채용 자료로 선호해가는 추세라 소개했다. 또 73%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성공적인 채용을 했다고 응답했다.
<중략>
스펙타파 소셜리크루팅
정부가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추진하기로 한 '스펙타파 소셜 리크루팅’은 기업 및 기관이 채용 공고를 SNS에 올릴 뿐만 아니라, 서류전형, 인적성 등의 일부 채용 과정도 페이스북 등 SNS에서 직접 진행한다. 미션 부여 및 수행, 평가 등의 전 과정이 SNS상에서 진행된다. 온라인의 특성상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으며 SNS의 특성상 타인의 수행물을 다수가 보고 평가해 다면 평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김승 건국대 미래지식센터 교수는 “'스펙을 초월’해 열정과 스토리를 가진 정말 좋은 인재를 수직이 아닌 상호관계(소셜)에서 서로 관찰하고 격려하고 응원해 정말 좋은 인재를 '리크루팅’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기존의 정량적이고 양적인 스펙 기준으로 다수를 걸러내고 소수에게 면접 기회를 주던 방식이 꿈과 끼 있는 청년들의 기회를 박탈한다고 보고, 지원자 개개인의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SNS상의 다수에게 검증 밟을 기회를 준다는 뜻이다.
정부가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추진하기로 한 '스펙타파 소셜 리크루팅’은 기업 및 기관이 채용 공고를 SNS에 올릴 뿐만 아니라, 서류전형, 인적성 등의 일부 채용 과정도 페이스북 등 SNS에서 직접 진행한다. 미션 부여 및 수행, 평가 등의 전 과정이 SNS상에서 진행된다. 온라인의 특성상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올릴 수 있으며 SNS의 특성상 타인의 수행물을 다수가 보고 평가해 다면 평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김승 건국대 미래지식센터 교수는 “'스펙을 초월’해 열정과 스토리를 가진 정말 좋은 인재를 수직이 아닌 상호관계(소셜)에서 서로 관찰하고 격려하고 응원해 정말 좋은 인재를 '리크루팅’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기존의 정량적이고 양적인 스펙 기준으로 다수를 걸러내고 소수에게 면접 기회를 주던 방식이 꿈과 끼 있는 청년들의 기회를 박탈한다고 보고, 지원자 개개인의 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SNS상의 다수에게 검증 밟을 기회를 준다는 뜻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정보를 수집•편집•공유하는 큐레이션의 기술이 미래의 경쟁력이다 (0) | 2013.09.06 |
---|---|
[SERI 전문매거진S]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라-우재룡 한국형 은퇴설계연구소장 (0) | 2013.09.04 |
한국은 고령화 정책이 축소지향형이 아니라 확대지향형이 되어야 한다 (0) | 2013.09.04 |
유비쿼터스와 120세 장수시대 그리고 지식기반사회•••평생학습의 습관을 가져라 (0) | 2013.09.02 |
유비쿼터스와 120세 장수시대, 사람 팔자 알 수 없다 (0) | 201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