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120세 장수시대의 인생에는 정년이 없다, 자신의 삶을 이모작하라

배셰태 2013. 8. 29. 11:14

 

인생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고 이모작 인생을 시작하라

 

50~60대는 인생 이모작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웅하기 위해 무엇보다 마음가짐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건강수명으로 따지면 50대는 과거의 30대, 60대는 과거의 40대에 해당됩니다. '50청년, 70중년, 90노년' 인 시대에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입니다. 자신을 쓸모없는 퇴직자라고 생각하면 정말로 그렇게 늙습니다.

 

물리적 나이는 60대라 해도 건강수명으로 따지면 과거 40대의 몸을 갖고 있으니 마음가짐 또한 40대가 되어야 합니다. 인생의 시계를 거꾸로 돌려 재출발해야 합니다. 한창 활력이 넘치는 40대의 마음가짐으로 돌아가, "나는 여전히 현역이고, 앞으로 20~30년은 거뜬히 일할 수 있다" 고 되뇌면 이모작 인생기를 힘차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전히 현역이라는 마음가짐으로 무장했다면, 퇴직 후 시간의 효과적 활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ㄷ 흔히 퇴직 후에는 하는 일도 없는데 시간이 속절없이 빨리 간다고들 말합니다. 또한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에는 너무 나이가 들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No one is too old to learn"이라는 영어 속담처럼, 배우기에 너무 늦은 나이란 없습니다

 

오히려 나이 들어서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는가에 따라 이모작 인생기의 성공 여부가 판가름 납니다. 퇴직 후에는 여유시간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수면, 운동, 식사, 가사 등 필수시간을 제외해도 11시간의 여유시간이 있습니다. 50세부터 75세까지 25년간 이모작 인생을 영위한다고 가정해보면, 적어도 10만 시간(=11시간×365일×25년)의 여유시간이 있습니다.

 

말콤 글래드웰이 쓴 책《아웃라이어》에서는 '1만 시간의 법칙'을 이야기 합니다. 어떤 분야든 전문가나 달인이 되려면 최소 1만 시간을 투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1만 시간을 효과적으로 투입하면 어떤 새로운 분야에서도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모작 인생기에 전문가가 되려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왜 그렇까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쫓아야 하는 일모작 인생기에는 자신의 전문성을 위해 1만 시간을 투입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모작 인생기에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이모작 인생기에는 1만 시간을 다 투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모작 인생기에 쌓은 경험과 노하우가 절반이상을 채워주는 덕분입니다. 40대에는 자녀들이 어느 정도 성장한 시점이므로, 하루 2시간을 내기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만일 40대부터 이모작 역량 확보를 위해 주중 하루 2시간이나 주말 하루(10시간) 정도를 꾸준히 이모작 준비를 위해 10년간 투자한다면 이미 5,000시간이 넘습니다(=10시간×52주×10년).

 

여기에 그동안 직업생활과 사회생활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접목하면 어떨까요? 이미 새로운 분야의 전문가가 될 준비가 어느 정도 갖춰진 셈입니다. 따라서 50대 초반 일모작 직장에서 은퇴한 후 약간의 적응 교육만 받는다면 충분히 이모작 인생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조그만 더 이모작 직업현장에서 노력하면 전문가나 달인이 될 수 있습니다. 회사에는 정년에 있지만 인생에는 정년이 없습니다.인생 후반부에는 자신이 노력한 것 이상으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모작 직장에서의 은퇴가 사회생활의 끝이라 생각하면 120세 장수시대는 자칫 재앙이 되기 쉽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이 일모작 직장에서 은퇴 후 새로운 직업인생을 시작하며 즐겁고 보람차게 살고 있습니다. 그러니 더는 미래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신의 삶을 이모작 하세요. 그러면 행복해질 것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