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2월 '협동조합 기본법' 시행 이후 협동조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아이템만 있으면 협동조합 설립이 상대적으로 쉬워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협동조합 활성화는 박근혜정부의 국정과제에도 포함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관심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설립 신고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설립 이후 별다른 활동이 없는 협동조합이 늘어나는가 하면 당초 취지와 달리 정치색을 띤 협동조합이 다수 나타나면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만만찮다.
15일 서울시 및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협동조합 설립신고 건수는 2261건에 달했다. 지난해 12월부터 8개월 동안 매달 282건, 하루 평균 9건 이상 협동조합 설립신고가 이뤄진 것이다.
일반협동조합 설립신고 건수가 2154건으로 전체의 95.3%에 달했고 사회적협동조합 98건(4.3%), 일반협동조합연합회 9건(0.4%)이었다.
신청건수를 기준으로 지역적으로는 서울이 660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280건), 광주(201건), 부산(143건) 순이었다. 가장 적은 수의 협동조합 신청이 이뤄진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로 8건이었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올해만 최소 2704개에서 3386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는 것을 시작으로 앞으로 5년간 최소 8000개에서 최대 1만개 정도의 협동조합이 세워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