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화 칼럼] 창조경제의 걸림돌, 창업자 연대보증(1)
이투데이 2013.07.29(월)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연대보증은 창조적 경제 구현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손톱 밑 가시가 아니라 척추에 박힌 대못이다. 지금 10만명의 젊은이들에게 창업을 하도록 하는 창조경제 정책이 성공을 거둔다면 5년 뒤 대략 50만명의 고급 신용불량자가 발생하는 국가적 대재앙이 올 것이다.
이제 청년 창업 없이는 국가 성장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은 전 세계적으로 주지하는 바다. 미국의 경우에도 4%의 고성장 벤처가 60%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대기업은 성장에는 기여하되 일자리는 만들지 못한다. 벤처창업만이 성장과 일자리를 동시에 해결하는 유일한 대안인 것이다.
2000년 한국은 세계 최고의 기업가 정신 국가라는 평가를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 교수로부터 받은 바 있다. 그 대한민국이 지금 OECD 기업가형 창업 최하위 그룹에 속하고 있다. 그것은 2000년까지 벤처 1차 붐의 결과를 청년들이 학습한 결과인 것이다. 바로 연대보증으로 인한 신용불량으로 사회로부터 축출된 선배들의 슬픈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성공한 벤처들이 삼성전자의 1.5배에 달하는 매출을 만들어 낸 성공 이야기는 뒷전이 된다.
대한민국 어머니들의 정보력은 단연 세계 최고다. 창업을 한다면 제일 먼저 말리는 것이 왜 어머니인가 곰곰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사회적 평판은 둘째로 하고 장가 보내기가 어렵다. 내 소중한 자식이 평생 신용불량의 멍에를 안고 살아야 한다. 이러한 제도하에서 창업을 용인하는 부모는 무책임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 모든 문제는 연대보증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연대보증 제도란 모든 창업자를 잠재적 모럴 해저드로 간주한 것이다. 만약 회사가 부도 날 경우에는 법률적 재판을 거치지 않고 무조건 개인 재산 몰수에 들어가겠다는 것이다. 선진 시스템이란 KTX 승차권 제도와 같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착한 승객일 것이라 믿고 일부 부정한 승객들은 사후검사로 골라내 징벌적 배상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은 모든 창업자에게 연대보증이라는 규제의 멍에를 씌우고 출발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존재·생각·행동 창조적 리더십의 원천-김성회 CEO리더십연구소장 (0) | 2013.07.29 |
---|---|
'중소기업 창조경제확산위원회' 공식 출범 (0) | 2013.07.29 |
창조경제 각론이 필요하다-나성섭 ADB 남아시아 인간 사회개발 디렉터 (0) | 2013.07.29 |
정부 공공데이터 개방(관련법률 10월말 시행)…"창조경제 한 축 될 것" (0) | 2013.07.29 |
창조경제 중심에 ‘대학’이 있다-스위스·네덜란드 공대 르포 (0) | 201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