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창조경제의 엔진 '3D 프린터' 만들다

배셰태 2013. 7. 17. 08:51

우주인 고산, 창조경제의 엔진 '3D 프린터' 만들다

한국경제TV 2013.07.17(수)

 

누구나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만들 수 있는 3D 프린터

 

<중략>

 

'3D 프린터의 모든 것'

우주인 고산과 3D 프린터 전도사 허제 씨가 3D 프린터에 도전하려는 예비 창업자와 중소기업인에게 꼭 필요한 책을 내놨다.

3D 프린터는 창조경제를 이끌 신성장동력 산업의 핵심이 될 가능성을 지녔다. 3D 프린터는 빠른 시안 제작이 가능해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소자본으로도 쉽게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경영자나, 예비창업자 혹은 스타트업을 꿈꾸는 이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품으로 바로 구현할 수 있어, 창조경제의 새로운 엔진으로써 손색이 없다.

이런 가능성을 인식한 전 세계 여러 나라들은 3D 프린터 기술을 빠르게 발전시키려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13년 연두교서 연설에서 3D 프린터가 “거의 모든 제품의 제작 방식을 혁신할 잠재력을 가졌다”며 극찬했다.

이에 발 맞춰 미국 정부는 3D 프린터를 적극 육성하려고 2012년 8월, 최초 민관공동 제조혁신재단으로 오하이오 주에 3D 프린팅 관련 연구 전용 연구소 NAMII를 설립했다. 또 중국은 물론 일본, 유럽연합(EU)도 3D 프린터 산업의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3D 프린터가 제3의 산업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현재 한국에서 창조경제를 만들어 갈 중소기업 경영자와 스타트업을 꿈꾸는 예비 창업자들이 3D 프린터에 대해 궁금해 할 모든 정보가 담겨있다.

'3D 프린터의 모든 것'은 창조경제의 새로운 엔진인 3D 프린터가 열어 갈 새로운 세상을 훌륭히 묘사했다. 저자는 3D 프린터가 전통적 제조업에서는 빠른 제품 개선을 위한 시안 제작과,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생산라인의 다변화 등으로 활용가능하다고 내다보았다. 이러한 가능성으로 인해 저자는 앞으로 3D 프린터 시장이 앞으로 1조 달러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으로 변하게 될 것이고, 가정에 널리 보급되면 물건을 사는 대신 프린트하는 세상이 올 것으로 예견하였다.

이 책은 3D 프린터를 처음으로 접하고 선택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한 친절한 가이드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