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 칼럼]똑똑한 실패… 창의적 실수… 창조경제 특효약
동아일보 2013.05.16(목)
‘창조경제’가 화두다. 박근혜정부는 저성장 고실업 등 위기에 처한 한국 경제의 돌파구로 창조경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그 용어의 정확한 정의가 무엇이건 사람들마다 창조경제를 이루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 하나같이 입을 모아 지적하는 게 있다. 바로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다. 실패는 보통 나쁜 것으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지식경제시대를 맞아 창의성을 발현시키고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해 실패에 대해 너그러워져야 한다는 견해가 점점 확산되고 있다.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사실이 하나 있다. 실패를 허용하라는 말이 정당화되려면 오늘의 실패를 통해 내일의 성공을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 실패는 바람직하지도 않고 의미도 없다. 격려와 독려의 대상이 돼야 하는 건 바로 ‘똑똑한 실패(intelligent failure)’다.
똑똑한 실패는 심 싯킨 듀크대 푸쿠아경영대학원 교수가 처음 소개한 개념이다. 그는 기존 사업과 너무 친숙하지도, 전혀 상관없지도 않은 영역에서 적정 규모의 투자와 치밀한 사전 계획하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불확실한 상황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초 기대했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를 똑똑한 실패라고 규정했다. 조직 학습 관점에서 유용한 건 바로 이런 특성을 가진 실패라는 게 싯킨 교수의 주장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베른트 크릭스만 독일 응용과학대 교수도 ‘창조적 실수(creative errors)’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창조적 실수란 혁신을 목적으로 리스크를 계산해가며 기존 관행과 루틴을 벗어나 과감한 시도를 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 경우를 뜻한다.
실수를 허용하는 문화가 진정으로 혁신 역량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먼저 ‘옥석’을 가려내는 혜안이 필요하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마다 해석 각각' 창조경제 성과 평가 수단없다 (0) | 2013.05.17 |
---|---|
[창조경제 발원지 구글 본사 가보니]지식 공유 생태계 조성돼야 창조경제 가능 (0) | 2013.05.16 |
중소기업청, 최대 3천만원 협동조합 특례보증 실시('13.05.12) (0) | 2013.05.13 |
창조경제 성공? X형 아닌 Y형 인재 길러야-이효수 영남대 교수 (0) | 2013.05.13 |
[스크랩]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소통! 우리가 책임집니다! (0) | 201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