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가 박근혜 정부의 중심산업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청와대는 최근 창조경제의 핵심으로‘스마트그리드’를 주목, MB 정부의‘4대강 사업’과 같은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업계는 정부가 창조경제의 모델로 스마트그리드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는 박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이미 스마트그리드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바 있다. 박 대통령의 주요 공약사항 중 하나였던 창조경제와 스마트그리드의 방향성이 같기 때문이다.
전력과 IT의 결합으로 신성장동력을 만들겠다는 스마트그리드는 문화와 산업, 산업과 산업, 산업과 IT 등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창조경제의 의미와 일맥 상통하는 점이 있다.
박근혜 정부를 대표하는 사업이 현재 없다는 것도 정부가 스마트그리드에 주목하는 주요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지난 정부를 돌이켜 볼 때 ▲MB정부의‘4대강 사업’▲참여정부의‘혁신도시’등 정권을 대표하는 주요 사업이 있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에서는 아직까지 대통령의 정책을 관통하는 주요 사업이 뚜렷하지 않다. 이 같은 이유에서 스마트그리드가 현 정부를 대표하는 산업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높게 점쳐지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를 주관하는 부처를 현행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업계 관계자들은 미래창조과학부가 박근혜 정부의 정책을 대표하는 핵심기관으로 불리는 만큼, 정부의 주요 과제를 핵심부서에서 수행토록 할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았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이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재직하던 당시 스마트그리드 산업에 참가할 것을 주장했던 인물이라는 점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싣고 있다.
..이하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