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 아닌 99%를 잘 살 수 있게 하는 ‘협동조합’ 뜬다
영남일보 2013.04.06(토)
조합원에 의한 합리적 운영·공동소유…수익 공동배분
일자리 창출·양극화 해소 기여로 ‘경제민주화’ 앞당겨
대기업·대자본 횡포에 맞설 유일한 경제 모델로 평가
“협동조합은 매우 독특하고 가치 있는 기업모델로 빈곤을 낮추고 일자리를 창출한다.”
반기문 UN사무총장이 2011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세계 협동조합의 해 선포식에서 직접 밝힌 말이다. 전국이 협동조합 열기로 뜨겁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10일 협동조합 100일을 맞아 발표한 자료에서, 협동조합 설립신청 건수는 총 647건으로 하루 평균 약 6.5건의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481건이 신고수리 또는 인가를 받았다.
지난해 12월부터 업종과 분야 제한 없이 5인 이상이면 누구나 협동조합을 설립할 수 있도록 하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되면서 다양한 분야의 협동조합이 활발하게 개설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에서도 4일 현재 대구 20개, 경북 28개가 설립되는 등 협동조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협동조합이란
<중략>
보건사회연구원은 법 시행 후 2017년까지 향후 5년간 최소 8천개에서 최대 1만개 정도의 협동조합이 설립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원은 협동조합으로 인한 향후 5년간 취업자 수는 4만~5만명, 그 중 피고용자는 3만~4만명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 왜 협동조합인가
협동조합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경제민주화 바람과 함께 일자리 창출과 빈부격차 해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실제로 협동조합은 다양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창업 활성화를 통해 고용창출을 유발하고, 유통구조 개선을 통한 물가안정 등 경기 안정화에 기여하는 한편 지역협동조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소상공인이나 사회적 약자들의 조합의 경우는 대기업이나 자본에 대항함으로써 경제 양극화 완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사회적 효과도 있다. 취약계층 고용 및 처우개선(임금상승 등)을 통해 복지제도 보완, 신뢰 등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리운전기사들이 모여 협동조합을 설립할 경우 고객에게 받는 수입 중 사업자에게 가던 몫을 자신의 수입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중략>
메시 뛰는 ‘FC 바르셀로나’도 협동조합
협동조합은 해외에서 더 유명하다. 전 세계 10억명 이상이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적으로 또는 국제적으로 많은 성공사례를 만들어 내고 있다. 스페인의 축구 명가 FC 바르셀로나와 썬키스트, 웰치스, 알리안츠생명보험, 제스프리, AP통신 등이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고 있는 협동조합 형태로 운영되는 성공적인 모델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동조합법 시행 4개월… 전국에 ‘우후죽순’ (0) | 2013.04.07 |
---|---|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 금융패러다임-한국금융연구원 (0) | 2013.04.07 |
이 봄, 협동조합 바람이 분다 (0) | 2013.04.06 |
기획재정부, 4월 8일부터 협동조합 중간지원기관 업무개시 (0) | 2013.04.06 |
협동조합의 7원칙 (0) | 201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