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두 "애플이 삼성보다 지식자산 앞서"..창조경제 7법칙
이데일리 2013.03.26 (화)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2751785
김 원장은 먼저 창조경제에 대해 “창조력, 응용력, 실천력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중소 벤처기업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중소·대기업 간의 상생구조가 정착돼 일자리 창출형 성장이 선순환 되는 경제”라고 정의했다.
<중략>
그는 “실물 금융자산보다 지식자산의 중요성이 더 커지게 되는 경제”라면서 “우리는 삼성전자(005930)를 대단하게 보나 삼성전자보다 애플이 지식자산이 월등하게 앞선다. 이것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게 창조경제”라고 강조했다.
김광두 원장은 “우리나라 금융은 창조경제에 있어 후진적이어서 인수합병이 일어날 수 없는 구조”라면서 “제조업은 노력해도 일자리가 늘지 않지만 중소 벤처형 기업이 많아지면 가능하다”고 부연했다.
창조경제와 경제민주화가 다른 개념이 아니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창조경제가 되려면 힘이 강한 자가 약한 자, 벤처기업에 부당한 압력을 가해 아이디어를 뺏아 가는 걸 막아야 한다”면서 “정경유착의 문제인데, 공정위와 금감원이 주어진 책무를 100% 하면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그가 제시한 창조경제 성공을 위한 7가지 조건
◇창조경제의 성공조건들
1. 거시경제의 안정성이 유지돼야 한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중개업, 협동조합이 대안-박명남 한국부동산닷컴 대표 (0) | 2013.03.26 |
---|---|
협동조합, 경제 민주화의 기반 구축 첫걸음-박창환 기재부 과장 (0) | 2013.03.26 |
집·차 나눠쓰는 ‘공유경제’ 부쩍 커졌다 (0) | 2013.03.26 |
[세빗 2013] 미래 기술로 만난 ‘공유경제’ (0) | 2013.03.25 |
시장경제 대안, 협동조합이 뜬다 (0) | 201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