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예측, 일자리는 소멸되지만 일거리는 무궁무진해진다
인데일리 2012.10.15 (월)
미래사회는 일자리 소멸 경제시대가 온다, 하지만 수많은 일거리를 생산하는 경제가 된다. 최근 이미 사라진 직종이나 일자리는 절대 되돌아오지 않는다. 소멸직종은 재생시킬 수가 없다.
<중략>
평생직장 평생직종이 소멸되면서 대부분의 개인 경력은 거의 누더기처럼 이곳 저곳을 옮겨다닌다. 이력서에는 수많은 직종, 직장을 덧붙이게 된다. 베이비붐 세대 미래 직업과 이력서의 예는 이제 사다리형이다. 낮은 사다리에서 좀더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배추처럼 수많은 잎을 겹겹이 덧붙이는 일자리 형태가 된다. 점점 더 좋은 일자리, 향상된 근무처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비슷하거나 젼혀 다른 직종으로 이동을 한다.
일거리만 있으면 뭐든지 할 수 있다는 사람들이 더 많다. 미래의 이력서들은 마치 조각이불을 보는 모습을 하게 된다. 수많은 일자리를 옮겨서 겹겹이 바느질을 한 모양새로 좋게 말하면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한다지만 나쁘게 말하면 돈 만 되면 무조건 일자리를 옮겨다는 형상을 한다고 제임스 H. 리(James H.Lee)가 "일자리소멸시대 일하기 힘든 세상(Hard at Work in the Jobless Future)"라는 기고문에서 예측한다.
<중략>
미래의 노동시장 상황을 알아야 미래 일자리에 대한 전망이 나온다. 미래 일자리에 대해 미국 정부는 10년 후는 현존직업 80%가 소멸 진화한다고 밝히고 있고 호주정부는 10년 후 첫 일자리 잡는 사람이 은퇴시 40여개 직장을 갖는다고 발표했다. 현재 미국 사람들은 약 8.7개 직장을 옮겨 다니고 은퇴한다.
미래의 일자리는 기본적인 세계 메가트렌드를 봐야한다. 다가오는 미래 메가트렌드 중 가장 큰 트렌드가 교육의 변화라고 한다.
메가트렌드란 인간이 거역할 수 없는 큰 흐름인데, 우선은 1)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변화 2) 첨단과학기술발전으로 오는 사회 및 라이프스타일 변화 3) 지구촌 글로벌화로 하나 되는 세상 4) 교통통신발달로 늘어나는 교육이주, 노동이주, 행복이주 등 이동성강화 5) 농경, 산업시대의 남성의 힘이 필요했던 시대가 가고 정보화시대 조그맣고 세심하고 감성적인 지식기반사회에서 여성성강화 6) 그리고 이 모든 변화를 따라가기 위한 교육의 변화가 메가트렌드이다.
<중략>
미래사회는 산업시대의 제조업이 소멸한다. 현재 미국은 88%가 서비스산업종사자이고 한국은 80%가 서비스산업종사자다. 제조업은 10년 내에 2%로 감소하고, 아프리카 등지로 날아가거나 자동화기계화로 소멸된다.
대부분의 대학전공과목이 제조업 분야인데 대학을 나오면 갈 곳이 없다. 2015년 나노 어셈블러가 나오면 제조업은 나노자동생산시대로 가기 때문에 더욱 급속히 소멸한다.
그럼에도 미래 일자리를 위한 덕목은 1) 멀티플레이어, 2) 다전공, 다인턴 3) 미래뉴스 읽는 것은 필수. 검색에서 늘 “미래뉴스”를 쳐보아야 한다. 4) 제조업 아닌 서비스산업 및 창의성, 정보, 지식, 사고, 아이디어가 중요한 시대 5) 지구촌단일화 다문화 다중언어로 무장 6) 보리 고개 등 힘든 것 모르는 세대라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게하는 것이 건강유지, 생명보존 전략이다.
<중략>
10년 후 최대 먹거리 산업은 1) 나노 바이오 인포 코그노(인지) 에코기술 2) 에너지산업 대체에너지 태양열 등 3) GPS, 감시공학, 보안산업 4) 시니어산업 고령화, 의료 헬스산업 대체의학, 가사도우미, 노인도우미 등 5) 교육산업, 인력공급업 6) 사이버, 가상현실공간 산업 7) 금융업 등이라고 테드 고든 유엔미래포럼 창립회장이 주장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정권 녹색기후기금유치, 10년 후 최대의 공적으로 남는다 (0) | 2012.10.24 |
---|---|
실버세대를 위한 젊은 비즈니스가 뜬다-삼성경제연구소 (0) | 2012.10.18 |
지식경제부, 구글보다 뛰어난 한·영통역 `지니톡` 무료 서비스 개시 (0) | 2012.10.18 |
작년 문 닫은 자영업자 83만명…전체의 16%가 폐업 (0) | 2012.10.18 |
세계미래회의(박영숙한국대표) 발표, 2022년 미래 메가트렌드 10가지 (0) | 201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