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2012.09.12 (수) 전시은 인터넷 경향신문 인턴 기자
시민사회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사회적 기업과 협동조합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고, 실물경제와 화폐경제에 대한 불만들이 넘쳐난다. 사람들은 지금의 경제 속에선 20대 80의 부의 구조가 점차 1대 99의 구조로 바뀌어 갈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에 대안 경제가 모색되고 있다. 헝가리의 경제학자였던 칼 폴라니의 저서 「거대한 전환」에서 이미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하였고, 그 대안으로 지역적 계획경제를 주장하였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터진 여러 번의 경제위기들 때문에 사람들은 이러한 칼 폴라니의 주장에 주목한다.
여기, 공유경제가 그 모델이 될 수 있다. 공유경제란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 주고 빌려 쓰는 개념으로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이다. 공유경제는 2008년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런스 레식 교수에 의해 처음 사용된 말로, 한 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적 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을 말한다.
미국은 90년대 말에 공유경제 아이템으로 사업을 시작한 것에 비하면 한국에서 공유경제가 논의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공유경제 업체들이 2011~2012년에 시작했는데, 새로운 한국형 모델의 등장보다는 외국에서 이미 하고 있는 카 쉐어링이나 공간나눔이 초기 모델이었다. 최근에는 물건(재화, 공간) 공유와 경험공유를 아이템으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중략>
한국 공유경제의 1세대이자 대표적 인물이라 할 수 있는 코업(http://www.co-up.com)의 양석원 대표와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의 가야 할 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공유경제의 핵심가치를 ‘신뢰, 유휴자원의 활용, 커뮤니티’라고 정의한 양석원 대표는 공유경제의 가치가 사람들에게 더 알려지기 위해서 “사람들이 나눠서 사용할 때 혹은 함께 사용할 때 크게 보면 모두가 이득이라는 생각이 조금 더 넓게 퍼져야 할 것이며, 이것을 기회로 기업가 정신을 발휘해서 가치를 만들어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져야” 하고, “새로운 시도인 만큼 이러한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도 함께 고민이 되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 제도적인 부분은 단순히 드러나는 하나의 법, 하나의 제도가 공유경제의 가치를 더한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와 물결이 오는 것이기에 기존의 제도와 법규에 부딪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뜻도 덧붙였다.
공유경제는 자원의 꽉 찬 활용을 통해 사회적으로도, 환경적으로도 선 순환적 모습을 나타낸다. 신뢰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호혜 경제이기 때문에 공동체성을 살려낼 수 있고, 자원의 낭비가 줄어들어 환경오염 및 고갈되는 자원에 대해 대안의 효과를 보인다. 공유경제의 패러다임이, 획일적 자본주의의 시장경제가 가진 부정적 모습들의 대안이 될 것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공유 촉진 조례 제정 예정‥공유 사업 박차 (0) | 2012.09.24 |
---|---|
빈방 '연결'해주는 벤처기업(에어비앤비), 힐튼호텔 위협할 정도로 급성장 (0) | 2012.09.22 |
공유경제 - 은종환 에코시안 대표 (0) | 2012.09.12 |
소유하지 말고 공유하라 (0) | 2012.09.12 |
[소유의 종말] 책·자동차·빈방 ‘내것 아닌 우리것’…‘공유의 경제’가 뜬다 (0) | 201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