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1면 1일전
"비싼 가격" 통신사 결합상품이 더 저렴
<국내 유일한 단말기 자급제용 스마트폰 삼성전자 `갤럭시M 스타일`>
“출시한 지 8개월 된 스마트폰을 49만원을 내고 구입하려는 소비자는 거의 없습니다. 이런 제품을 판매하는 것도 모릅니다.”
서울 시내 한 `삼성 모바일샵` 직원은 단말기 자급제 고객이 좀 늘었느냐는 질문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8일 단말기 자급제(블랙리스트)를 시행한 지 딱 100일을 맞았다. 단말기 자급제는 저가폰·중고폰 등 유통을 활성화해 통신료 인하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제도 시행 석 달이 넘었지만 소비자 반응은 싸늘하다. 통신사가 보조금을 미끼로 사실상 독점하는 휴대폰 유통 구조가 좀체 변화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정책이 자칫 `찻잔 속 태풍`으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중략>
단말기 자급제로 가입자 증가를 기대했던 이동통신재판매(MVNO) 역시 제도로 인한 효과는 미미하다. 장윤식 MVNO협회장은 “방송통신위원회와 업계나 단말기자급제를 알지 정작 소비자는 모른다”며 “제도를 시행했지만 MVNO 사업은 과거와 달라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중략>
장 협회장은 “소비자가 같은 단말기를 싸게 사려면 통신사를 통해 가입해야 한다”며 “중간에 해지하려면 위약금을 내는 구조에서 자급제 정착은 쉽지 않다”고 주장했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시행된 지 100일밖에 되지 않아 제도 실패를 말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삼성전자에 이어 다른 제조사도 자급제용 단말기 출시를 준비하고 있어 제도 정착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셜 빠진 소셜커머스, 체험 마케팅으로 승부하라 (0) | 2012.08.11 |
---|---|
KTOA-방통위 합작품…통신요금 포털사이트 '스마트초이스' 문 연다 (0) | 2012.08.09 |
삼성전자 · LG전자, 'VoLTE 스마트폰' 개발 완료 (0) | 2012.08.09 |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살 길, 구글아닌 블랙베리 (0) | 2012.08.09 |
"MVNO(알뜰폰) 무시하지 마!"…번호이동 빨아들이며 '好好' (0) | 201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