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스마트폰 귀신 아세요?

배세태 2012. 1. 26. 08:34
 

 

 

친구와 카카*톡을 하던 도중 갑자기 스마트폰 키보드가 저절로 움직이기 시작하였습니다. 홀로 ‘탁탁탁’ 글자를 치더니 전송이 되더군요. 소름이 돋았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배터리가 다 된 것도 아닌데 분명히 켜져 있던 스마트폰이 꺼져 있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꺼진 휴대폰은 배터리를 분리했다 다시 끼워서 부팅하지 않는 이상 절대 켜지지 않았습니다. 이 소름 돋는 경험을 한 후 스마트폰에도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조사해본 결과, 스마트폰도 컴퓨터처럼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며칠 전 우스갯소리로 친구로부터 ‘스마트폰 귀신’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세 종류의 스마트폰 귀신이 있다고 합니다.

 

 

            

                   

 

            

 

 

 

 

 

 

 

 

 

 

  '랜덤'귀신                                   '무음'귀신                                       '종료'귀신

 

출처: 하나팩스 공식 기업 블로그

 

 

첫 번째 스마트폰 귀신은 '랜덤'귀신으로, 랜덤으로 전화번호부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전화를 건다고 합니다! 두 번째 스마트폰 귀신은 '무음'귀신인데요. 분명히 벨소리가 나도록 설정해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벨소리가 나지 않았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벨소리를 무음으로 하는 귀신을 '무음'귀신이라고 한답니다. 마지막 귀신은 '종료'귀신이라고 불린다는데요. 친구와 전화통화를 마치고 종료 버튼을 눌렀는데 통화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답니다. 저의 경우 두 번째와 세 번째를 직접 경험한 적이 있어서 친구한테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소름이 돋았는데요. 이건 우스갯소리에 불과하답니다! 사실 이 모든 현상들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에 침투한 버그와 바이러스로 인한 것이라고 합니다.

 

컴퓨터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Dos나 DDos, 미켈란젤로 바이러스 등 컴퓨터 바이러스의 이름에 많이 익숙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또 실제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던 경험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처럼 스마트폰 역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이상 현상을 보이고 난 후에야 자신의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사실을 아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합니다.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나서야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니, 일명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혹은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인 셈이죠.

 

안철수 연구소는 ‘2012년 스마트폰 보안 위협 트렌드’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대량으로 유포하는 방식이 발전한다면 좀비PC와 마찬가지로 ‘좀비스마트폰’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DDos 공격이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발생할 가능성이 잇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마트폰은 컴퓨터처럼 CPU를 가지고 있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들고 다닐 수 있는 손바닥 크기의 컴퓨터’ 정도로 묘사할 수 있겠습니다! 크기만 작을 뿐, 기능에 있어서는 컴퓨터와 매우 유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리 없다는 생각은 잘못된 통념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소중한 친구인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천하기 쉽도록 ‘스마트폰 바이러스 감염 예방 10계명’을 정해보았습니다.

 

 

 

‘스마트폰 바이러스 감염 예방 10계명’ 

 

 

1. 어플리케이션을 조심하세요!

개발자들이 만들어내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여러분의 따분한 일상에 흥미를 주기도 하고 편리함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때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안타깝게도 여러분의 필요를 충족하면서 동시에 버그로부터 안전을 완전히 보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찾기 힘들 것입니다. 대신에 다운로드 시 개발자가 작성한 버그의 수 등을 체크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존 사용자가 남긴 피드백 등에 집중해주십시오. 약간의 관심이 여러분의 스마트폰이 버그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답니다.

 

 

2. 메일 확인할 때 주의하세요!

컴퓨터처럼 스마트폰도 메일 확인을 할 때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답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받지 않더라도 해당 메일을 확인하는 자체의 행위도 스마트폰을 충분히 바이러스에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상한 메일이나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온 메일은 열어보지 않는 것이 여러분의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데 바람직합니다.

 

 

3. 백신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세요!

우리는 독감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 예방주사를 맞습니다. 스마트폰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한 가지 백신 프로그램을 소개드리자면 안철수 연구소에서 만들어진 ‘V3’가 있습니다. V3는 컴퓨터 백신 프로그램으로도 유명한데요. 모바일용 V3도 있답니다. 이외에도 ‘알약’ 등 백신 프로그램에 다수 존재하니 꼭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데일리그리드

 

4.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는 방문하지 마세요!

신뢰할 수 없는 불법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은 여러분의 스마트폰을 병들게 하는 일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5. 운영체제 및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최신 버전의 운영체제와 백신 프로그램이 최신 버전의 바이러스를 막아내고 잡을 수 있습니다.

 

 

6. 블루투스 기능 등 무선 인터페이스는 사용할 때에만 켜놓습니다.

 

 

7. P2P를 통한 정보 공유나 불법 다운로드를 하지 마세요!

P2P는 본래 불법일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스마트폰을 감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8. 스마트폰 플랫폼의 구조를 임의로 변경하지 않습니다!

 

 

9.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수시로 변경하세요!

 

 

10. 다운로드한 파일은 바이러스 유무를 반드시 검사한 후에 사용하세요!

 

  

자칫 잘못하면 다운로드한 파일로 인하여 여러분의 스마트폰에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습니다.

 

10계명을 실천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10계명을 행동에 옮김으로써 여러분의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이러스로 인해 여러분의 개인정보가 누출되는 피해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바이러스 감염 예방 10계명을 꼭 실천해서 ‘스마트폰의 스마트한 유저’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


 

 


 

 

 

두루누리 기자 - 조현영

 

 

kkkiii00@naver.com

 

          

 


 

 

 

 

 

출처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글쓴이 : 방송통신위원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