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경제 2010.05.12 (수)
스마트폰발 제2 유통 혁명이 ‘초읽기’를 시작했다.
상품에 붙은 바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읽어 온라인 매장의 상품과 가격을 비교해 구매하는 서비스가 이르면 다음 달 선보인다. 자칫 오프라인 매장을 제품 쇼룸으로 전락하게 할 파괴력이 있는 서비스다. 온오프라인 쇼핑몰 간 국지전이 스마트폰을 매개로 전면전으로 번질 태세다.
11일 다음·옥션·NHN 등 상당수 온라인 업체는 바코드 데이터베이스(상품 정보)를 관리하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손잡고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유통서비스를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상의 관계자는 “인터넷 포털 등 온라인 쇼핑몰 대부분이 바코드를 활용한 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업체의 서비스 기본 모델은 고객이 오프라인 현장에서 바코드를 검색해 스마트폰에서 가격을 비교한 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형태다. 예컨대 가격을 비교할 때 고객이 스마트폰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상품에 붙어 있는 바코드를 읽으면 스마트폰 가격 비교 사이트에 접속해 상품의 가장 저렴한 제품을 찾아내 결제하는 형태다.
미국·영국·프랑스 등에서는 오프라인 상품과 온라인 상품 비교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장 간 가격 비교도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나와 있다. 다음은 이달 바코드를 활용한 서비스를 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옥션도 이미 상공회의소와 제휴를 맺은 상태여서 조만간 관련 서비스를 펼칠 전망이다. 옥션 등은 나아가 가격비교 상품을 즉시 스마트폰에서 구매하는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옥션 측은 “가격 비교부터 구매까지 포괄적인 서비스에 맞춰 시스템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김승식 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스마트폰 등장으로 고객 소비 태도는 더욱 현명해질 것”이라며 “오프라인 유통 채널도 오프라인만을 고집해선 안 되며 복합 채널로 가는 등 변화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오프라인 업체의 반발도 예상됐다. 모 대형 마트 관계자는 “스마트폰으로 가격을 비교해 구매하는 것은 온라인 업체만 장사를 시키는 것으로 매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매장 내에서는 가격비교를 못하게 막는다든지 또는 상품 구성을 달리해 가격 비교가 불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미 대형 마트들은 다른 마트와 가격 비교를 막기 위해 내용물을 약간 바꾸거나, 상품인식번호를 달리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폰 키워드 검색을 통해 고객이 가격 차를 확인할 수 있어 이 같은 조치도 한계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SNS를 접목한 쇼핑몰이 성공할 것" <============클릭
ZDNet Korea IT/과학 2010.05.12 (수)
=====================================================================================
[지식·정보]
미래의 전자생태계 `유비쿼터스`
전자태그(RFID)는 유비쿼터스를 알리는 메시지!!
전자태그(RFID)는 유비쿼터스를 알리는 나팔수!!
매장도 사무실도 필요 없는 유티즌 시대 도래!!
유통자형 u-프로슈머의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유비쿼터스 시대, 신흥부자로 가는 새로운 기회를 잡아라!!
지금 모든 초점이 유비쿼터스에 맞춰져 있다. 변화의 트렌드는 항상 삶의 승자와 패자를 낳는다.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자신의 경험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경험을 서비스재로 제공하는 마케팅과 더불어 제품과 서비스의 완전제품화, 경험의 가치화, 파트너의 협력, 고객에 대한 할인개념 도입, u-프로슈머 등이 총체적으로 요구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를 접목한 쇼핑몰이 성공할 것 (0) | 2010.05.12 |
---|---|
위치정보 서비스 ‘융합’… IT산업(모바일) ‘금맥’ (0) | 2010.05.12 |
삼성그룹, 5개분야 신수종(新樹種)사업 선정 (0) | 2010.05.12 |
욕심많은 롯데그룹, 모바일도 1등하겠다 (0) | 2010.05.12 |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 점유율 (0) | 201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