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스크랩] FTA 시대의 유망직종은?

배셰태 2011. 12. 1. 07:35

 

  

한·미 FTA가 발효되면 자동차, 포도주, 화장품 등 미국산 수입상품과 국내상품의 가격을 인하시켜 우리 국민의 소비생활을 더욱 윤택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미국과의 문화·교육·인적교류를 활성화시키고, 국내의 제도를 선진화하여 우리나라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또 하나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와 함께 FTA 발효와 더불어 증명표장제, 비자 유효기간 연장 등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혜택을 주는 제도들이 도입·시행되어, 국민들의 삶은 더욱 풍요로워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과의 경제·문화적 교류가 늘어 국제통상 분야의 수요가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국제통상, 통번역, 협상, 물류, 유통, 문화, 금융, 법률 등의 직종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선 미국과 통상·투자 교류가 증대됨에 따라 국제통상, 기업 인수합병, 구조조정 등을 전문으로 하는 국제업무 종사 변호사 및 컨설턴트의 수요도 크게 늘 것으로 기대되는데요. 특히 미국과의 FTA로 강화되는 저작권 분야의
전문가 수요도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선 우리나라와 미국 간 민간, 기업 및 정부 간의 교류가 확대되면서 영어 능력을 포함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전문성, 창의성 등이 한층 요구되고, 이에 따라 통번역사 및 각 분야의 전문 협상가도 유망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또한 특허권 강화와 관련된 변리사, 국제 교역 증대와 더불어 관세사·물류관리사 등도 인기를 얻는 직업군으로 예상됩니다.

 

이 외에도 모든 산업 분야에서 지식기반 전문직과 경력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특히 개방화의 가속화로 전 산업 분야에 걸쳐 마케팅과 브랜드, 연구개발 관련 전문가, 기업인수합병 전문가 등의 수요가 늘어날 것입니다.

 

분야별로는 금융 분야에서 자산운용, 위험관리와 관련된 전문인력의 수요가, 자동차 분야에서는 완성차 부문보다 애프터마켓에서 인력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약품 및 의료기기 분야에 있어서는 신약개발에 필요한 의약품공학기술자, 의약품 특허전문가, 임상관리사 등 기술개발 인력과 신약의 마케팅을 위한 제품관리자 및 품질관리자의 수요도 늘 것으로 전망된다고해요.

 

출판, 영화, 게임, 방송 등 문화 분야에 있어서는 기획 등 전문인력과 마케팅 인력의 수요가, 법률 서비스 분야에서는 외국계 로펌의 국내 진출과 향후 국내외 법률회사 간 업무제휴 등으로 경력직 변호사와 법률 관련직종도 유망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정책공감 블로그는 댓글 및 트랙백 등을 통한 많은 분들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건전한 소통을 위하여 공지사항 내 "정책공감 블로그 댓글정책"을 참조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책공감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