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스크랩] 3살 손자가 할아버지보다 인터넷을 더 많이 써요!!

배셰태 2011. 12. 1. 07:34
 

 

 

가구당 스마트기기 보급률이 42.9%로 1년새 약 9배가 증가했는데요, 특이한 점이 있네요.  만 3~5세 유아의 인터넷 이용률은 66.2%로 50대 이용률 57.4%를 앞질렀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함께 조사한 '2011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에 나온 사실인데요, 조사에서는 전국 10가구 중 4가구(42.9%)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스마트기기를 1대 이상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0년 4.9%에 그쳤던 '가구 스마트기기' 보급률이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의 급속한 증가세에 힘입어 지난 1년새 약 9배 가량 증가한 것입니다.

이번 조사는 전국 3만 가구 내에서 만 3세이상 유아가 있는 가구로, 지난 7월1일부터 9월15일까지(95%신뢰수준) 실시됐습니다.

3~5세 유아, 인터넷이용률 78%

2011년 7월 현재 만3세 이상 국민의 인터넷이용률은 78.0%로 나왔는데요, 이용자수는 전년대비 17만명 증가한 3천718만명.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층의 인터넷 이용률(99%이상)이 높았다. 인터넷이용률이라는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을 말합니다.

특히 얼리인터넷유저(Early Internet User)인 만3~5세 유아의 인터넷이용률은 66.2%로 처음 조사를 시작한 2006년 51.4%에서 지난 5년동안 14.8% 포인트(p) 증가했다. 50대 장년층(57.4%)의 이용률보다도 8.8%p가 높게 나온 것인데요,

 

 



가구당 스마트기기 보유대수는 평균 0.71대(스마트기기 보유 가구의 경우 1.64대)이며, 가구주 연령이 낮고(20~30대 가구 64.5%), 가구원수가 많으며(5인 이상 가구 70.4%), 가구소득이 높을수록(400만원 이상 가구 60.5%) 스마트기기 보유율이 높았습니다.

가장 보편적인 인터넷서비스는 이메일(85.7%)이고, 다음으로 SNS(66.5%), 인터넷쇼핑(64.5%), 인스턴트 메신저(54.3%), 인터넷뱅킹(42.4%) 순이었으며,

인스턴트 메신저 및 SNS 이용자가운데 49.4%와 31.5%가 스마트폰으로 메신저 및 SNS를 이용하고 있었습니다.이는 전년대비 각각 47.9%p와 29.9%p가 증가한 것으로, 인터넷뱅킹을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하는 경우도 23.8%(21.2%p 증가), 이메일 이용은 19.1%(18.0%p 증가), 인터넷쇼핑 이용은 14.6%(6.7%p 증가)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장인 2명중 1명은 SNS 업무에사용

SNS 이용자의 25.7%가 '하루에 1회 이상'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직장인 SNS 이용자 2명 중 1명(58.4%)은 업무용도로 SNS를 이용했는데요, SNS를 이용하는 주요 이유로는 '친교·교제'가 85.8%로 가장 많았으며, '취미·여가 활동(67.6%)', '개인적 관심사 공유(55.0%)'를 위해서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SNS 이용행동 및 인식과 관련해서는 SNS 이용자의 48.2%는 'SNS를 통해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를 쉽게 찾거나 얻을 수 있다'라고 답했습니다. 47.4%는 'SNS를 이용하면서 새로운 사람들과 친분을 쌓게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또한, 'SNS를 통해 얻은 정보는 믿을 만하다'고 응답한 경우도 42.9%였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내세우며 급성장하고 있는 소셜커머스 이용률은 9.3%며, 월 평균 2.1회를 이용했는데요, 주이용 고객은 20대(20.4%) 및 여성(10.7%)인 것으로 나타났죠. 주된 구매품목은 음식점, 커피숍 등의 '외식(55.3%)' 상품이며, 다음으로 '패션(44.4%)', '문화공연(39.2%)', '미용(20.9%)' 상품 등의 순이었습니다.

소셜커머스 이용자의 41.7%가 소셜커머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한 가운데, '상품․서비스 가격'에 만족하는 경우가 60.4%로 가장 많았으며,

소셜커머스 이용자 10명 중 6명(60.6%)이 '정상구매 상품·서비스와 차별 대우(18.6%)', '구매 취소나 교환·환불 안 됨(18.2%)', '과대 판매로 인한 예약불가 및 수량부족(17.6%)' 등의 불편이나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LTE, 와이브로 등 4G 무선인터넷 서비스 확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에 이어 스마트TV를 비롯한 스마트가전의 보급으로 가구 인터넷 환경의 스마트화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두루누리의 행복한 상상
글쓴이 : 방송통신위원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