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IT/과학 2011.10.23 (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원칙 없이 추진하고 있는 이동통신 재판매사업(MVNO) 때문에 관련 업계가 속을 태우고 있다. MVNO 사업 활성화로 통신요금 인하를 실현하겠다는 본래의 취지에 빛이 발하고 있다.
23일 SK텔링크에 따르면 이 회사는 당초 지난 7월부터 MVNO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사업을 하는 SK텔레콤 계열사라는 이유로 사업 시작 1주일을 남겨놓고 방송통신위원회가 시장 진출을 무기한 유예시켰다. 다른 중소 MVNO 사업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이 명분이다.
<중략>
SK텔레콤을 통해 MVNO 사업을 하고 있는 한국케이블텔레콤(KCT)과 아이즈비전 가입자 수는 9월 말 현재 5000명이 안 된다. MVNO 활성화를 통해 통신요금을 이뤄내겠다는 방통위의 정책목표도 실현 가능성이 요원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 통신경쟁정책과 이창희 과장은 "방통위가 시장 상황을 지켜본 뒤 이 사안을 다시 한번 검토할 예정인데 현재로선 그 시점이 언제가 될지 불투명하다"면서 "앞으로 다시 검토할 때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도화할지 등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의 중심 SNS]내가 쓴 140자로 `사람·기업·문화' 세계가 손 잡는다 (0) | 2011.10.24 |
---|---|
SNS, 국경을 넘어 하나된 세상을 만들다 (0) | 2011.10.24 |
MVNO 에넥스텔레콤, 새 BI 선보이고 제2의 도약 선언 (0) | 2011.10.24 |
삼성, 저가 스마트폰 시장서도 애플과 대결 (0) | 2011.10.24 |
MVNO 사업 성공을 위한 6가지 핵심요소는? (0) | 201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