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웹검색, 동영상 시청 등 데이터를 사용할때마다 한숨이 나온다. 웹 페이지 하나를 로딩하는데에도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즐겨보는 웹툰이라도 보려면 인내심은 기본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폭발적으로 늘어난 데이터 전송량을 기존의 무선 이동통신 방식으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어 자주 발생하는 스마트폰 통화 끊김 현상이나 무선 인터넷 접속 불가 현상 등이 이러한 데이터 폭증 때문이다. 갈수록 느려진 3G 데이터 통신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던 중 우리의 눈길을 끄는 광고가 등장했다. 통신사들의 4세대(4G) 이동통신 광고다. 지금보다 빠른 이동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롱텀에볼루션(LTE)`, `와이브로` 등 이름이나 내용이 어려워 고민에 빠졌다.
지난 1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유럽식 4세대 이동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시작했다. KT는 오는 11월부터 LTE서비스를 시작한다. 이미 LTE서비스를 시작한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신경전에 돌입했다. SK텔레콤을 ‘원조’를, LG유플러스는 ‘역사는 바뀐다’를 내세우며 4G광고가 시작되었다.
"4G 이동통신이 뭐야?"
LTE와 와이브로4G는 똑같은 4G 이동통신으로, 음성은 지원하지 않고 데이터만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LTE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지난 1일부터 서비스에 나섰고, 와이브로는 KT가 가장 적극적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두 서비스 모두 3G 대비 최대 5~7배 빠른 서비스 속도를 자랑한다. 3G 망으로 영화 한편을 내려받는데 약 7분~7분30초 정도 걸린다면, LTE는 약 1분30초~2분, 와이브로는 2분40초가 소요된다. 또한 4G 망을 이용하면 고화질(HD) 영상을 감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3G 망에서는 일반 동영상도 끊김이 잦지만, 4G 망에서는 고화질 영상도 끊김 없이 감상할 수 있다.
“4G 쓰면 통신비는?”
LTE는 월 3만~5만원을 추가로 내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을 통해 LTE를 사용하면 20만~30만원대에 이르는 USB모뎀이나 라우터를 구매하면 된다. 월 3만5000원을 내면 5GB의 데이터를, 월 5만원을 내면 9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다. 그러나 2년 약정으로 구매하면 단말기 가격은 내지 않아도 된다. LG유플러스에서 LTE를 사용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LG유플러스의 월 정액 가격은 월 3만원에 5GB, 월 5만원에 10GB로 SK텔레콤보다 약간 저렴하다. 역시 2년 약정으로 쓰면 모뎀이나 라우터 가격은 무료다.
KT의 와이브로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모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쓸 수 있어 요금제도 다양하다. 월 3만5000원부터 월 9만5000원까지 쓰는 스마트폰 요금제에 가입해 3G와 와이브로를 다양하게 구성해 쓸 수 있다. LTE처럼 모뎀만 구매하면 월 1만원에 1GB, 월 2만7000원에 50GB를 쓸 수 있다. 월 4만원을 내면 와이브로 역시 3G처럼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RIGHT NOW 가입하고 혜택받을까?”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LTE를 출시하자마자 앞다퉈 추가 데이터 제공 등 혜택을 선보였다. 이에 뒤지지 않기 위해 KT도 와이브로4G 요금할인 등을 약속하고 나섰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LTE에 가입하는 고객에게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펼친다. SK텔레콤은 연말까지 월 50%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한다. 월 5GB 요금제에 가입하면 연말까지 월 7.5GB를 쓸 수 있는 것. LG유플러스는 연말까지 요금제에 따라 2GB, 4GB의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하기로 했다. 월 3만원 가입자는 7GB를, 월 5만원 가입자는 14GB의 데이터를 쓸 수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초기 LTE 가입자의 혜택을 늘리기 위해 노트북 할인행사도 진행한다. 7월~8월 SK텔레콤 `T스마트샵`에서 LTE에 가입하면, 애플의 백북에어를 28만원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
KT는 와이브로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기존 가입자를 대상으로 큰 폭의 요금할인을 실시하고 있다. 월 5만5000원 이상을 내는 스마트폰 요금제에 가입한 사용자는 와이브로 30GB를 5000원이면 쓸 수 있도록 했다. 게다가 오는 8월부터는 이같은 혜택을 월 5만5000원 미만 요금제로 확대할 계획이다. 앞으로 KT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30GB 용량의 와이브로 서비스를 월 5000원이면 사용할 수 있다.
"LTE-와이브로는 무엇이 다를까"
4G, LTE, 와이브로.. 이게 다 뭐야?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LTE를, KT는 와이브로4G를 외친다. 같은 말일까? LTE와 와이브로 모두 빠른 데이터속도를 자랑한다. 두 서비스의 차이는 ‘단말기와 서비스 제공 지역‘이다. LTE는 아직 스마트폰 형태로는 출시된 단말기가 없다. 반면 와이브로는 스마트폰에서 바로 와이브로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가 출시돼 있다.
이 때문에 LTE는 USB 형태의 모뎀을 구입해 노트북에 연결해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에서는 라우터 형태 모뎀을 구매해야한다. 라우터는 LTE 신호를 와이파이로 전환시켜준다. USB모뎀과 라우터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지난 1일 출시했다. LTE를 모뎀 없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 바로 이용하려면 9월까지 기다려야 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LTE 지원 단말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SK텔레콤은 9월, LG유플러스는 11월에 LTE 탑재 단말기를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반면 와이브로는 KT가 단말기 제조업체인 HTC의 스마트폰 `이보 4G+`와 태블릿PC `플라이어 4G`를 출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LTE와 마찬가지로 모뎀인 `에그`를 구매,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로 변환해 쓸 수 있다.
LTE와 와이브로는 서비스 제공 지역도 다르다. 와이브로는 KT가 지난 3월 초 서울,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82개 시에 와이브로 망구축을 완료해 전국망 서비스를 갖췄다. 또한 와이브로는 경부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제주도 관광명소 등에서도 쓸 수 있다.
LTE는 7월1일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지금은 서울과 수도권, 광역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와이브로처럼 전국망을 갖추려면 오는 2013년까지 기다려야한다.
두루누리 기자 - 김보라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LTE · MVNO서비스 얼굴 알리기는 성공..몬티스타텔레콤 준비 中 (0) | 2011.07.11 |
---|---|
[스크랩] 인터넷 안에서의 콘텐츠 불법 공유 및 복제 규제기관 [HADOPI] (0) | 2011.07.11 |
삼성전자ㆍLG전자 `SNS 마케팅` 경쟁도 치열 (0) | 2011.07.10 |
공짜라던 안드로이드 때문에 삼성전자, 수 천억 지불할 판 (0) | 2011.07.10 |
MS, 윈도폰 대신 안드로이드 라이선스로 돈번다 (0) | 201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