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칼럼 2011.05.27 (금)
민경찬 / 연세대 이과대 교수·수학
‘늙어가는 대한민국’ ‘노인들의 나라’ ‘시한폭탄’, 이런 말들은 저출산·고령화 에 대한 경고 메시지다. 출산율은 1970년 4.53명, 1990년 1.6명, 2009년 1.19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고령화 속도도 가속화돼 노인 1명을 책임지고 부양할 사람이 1970년에는 17.5명이었는데, 2010년 7명에 이어 2030년 2.8명, 2050년 1.4명으로 크게 줄 전망이다. 생산 가능한 사람은 줄어들고, 부양을 받아야 할 사람은 크게 늘어 갈수록 젊은 세대의 허리가 휠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러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답은 간단하다.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은 개인적 역량을 더욱 크게 향상시키고,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는 퇴직자 및 고령자들은 일을 하도록 하여 국가 전체의 총 생산성을 높여나가는 것이다. 요즈음 한참 일할 나이인 40~50대 초반에 퇴직한 사람이 부지기수다. 우수한 경력자들이 20~30년 이상 무직으로 살아갈 수도 있다. 상당수는 음식점 등 영세 자영업으로 밀려나고, 대부분은 극심한 경쟁과 경기침체로 퇴직금을 다 날리기도 한다.
지금은 ‘정년 은퇴’ 후라도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다. 사실 정신적·육체적 여력이 있는 60대에게 ‘여생’ ‘노후 관리’라는 용어가 잘 어울리지 않는다. 평균수명이 80세로 늘어났고, 100세 시대를 이야기하는 때다.
이제는 퇴직이나 정년 은퇴는 인생 이모작의 새로운 출발로 봐야 한다. 인력의 ‘재활용’이라는 용어도 ‘재창조’로 개념을 바꿔야 한다. 현재 임금피크제, 정년연장, 재고용제 등 제도들이 개선되고 있다. 또한 퇴직 후의 삶에 대한 의식·인식·문화도 변화하고 있다. 국내외 재능기부 등 자원봉사, 비정부기구(NGO)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창업과 서비스 산업 등 일의 내용과 성격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생물 중에 오랫동안 살아남는 것은 강하거나 똑똑한 것이 아니라, 변화에 가장 잘 적응하는 것이라고 한다. 고급인력의 재활용 해법도 변화 적응 능력에서 찾아야 하며, 결국 교육과 훈련으로 풀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대학들은 여러 방식으로 국가적 주요 전략 과제인 고급인력의 재활용을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
대학들은 퇴직자나 고령자들의 사회적 영향력을 생각해 ‘평생학습’을 더욱 중요한 과제로 삼아야 한다. 평생교육 내용도 취미·여가 중심에서 사회로의 재진입에 필요한 전문성과 역량을 키우는 프로그램으로 확대해야 한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정보산업진흥원, '스마트워크센터' 대상지 확정- 인천시 (0) | 2011.05.28 |
---|---|
美상원 "한미FTA, 8월 이전비준" (0) | 2011.05.27 |
구글·픽사처럼…스마트워크가 재밌는 일터 만든다 (0) | 2011.05.27 |
[스크랩] 베이비붐 세대의 `대박창업 성공기` 들어보니 (0) | 2011.05.26 |
이메일만 활용해도 스마트워크 OK! (0) | 2011.05.26 |